윤석열 대통령 당선자의 ‘한-미 정책 협의 대표단’ 단장인 박진 국민의힘 의원이 7일 워싱턴 특파원 간담회를 하고 있다. 워싱턴/워싱턴특파원 공동취재단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미국에 파견한 ‘한-미 정책 협의 대표단’이 윤 당선자 취임 후 조기에 한-미 정상회담을 열자는 데 미국 쪽과 공감대를 이뤘다고 밝혔다.
대표단 단장인 박진 국민의힘 의원은 7일(현지시각) 워싱턴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한-미 동맹의 중요성과 엄중한 한반도 상황, 경제 안보, 글로벌 공급망 변화 등 새로운 도전에 공동 대응하기 위해 한-미 정상 회담을 조기에 개최할 필요성에 대해 (미국 쪽과) 의견을 교환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아시아를 방문하는 계기에 꼭 (한국을) 방문해 한-미 정상회담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을 얘기”했고, 미국 쪽도 같은 생각이었다고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일본에서 열릴 예정인 쿼드(미국·일본·인도·오스트레일리아)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으로, 이 회의 시기는 5월 말께가 유력한 가운데 확정은 되지 않고 있다.
박 의원은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공조도 협의했다며 “북한의 도발과 위협이 국가 안보에 중차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면 시의적절하게 전략자산을 전개하는 것이 필요한 일이라고 본다는 입장을 미측에 전달했다”고 말했다. 한-미 외교·국방장관이 참여하는 ‘2+2’ 회담을 해마다 개최하는 식으로 정례화하는 것도 미국에 요청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또 5월10일 윤 당선자의 취임식에 미국이 고위급 사절단을 보내기로 했다는 말을 들었다며 “신정부가 한-미 동맹을 정상화하고 격상하고자 하는 생각이 있어 좋은 출발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3일 워싱턴에 도착한 대표단은 백악관·국무부·국방부·상무부 등 미국 행정부와 의회, 싱크탱크 인사들을 만나 윤 당선자의 구상을 밝히고 한-미 관계를 둘러싼 차기 정부 정책에 대한 사전 조율을 했다. 박 의원은 “미국 측은 한-미 동맹을 포괄적 전략 동맹으로 한 단계 더 격상하자는 윤 당선인의 구상과 의지를 전폭적으로 지지한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했다.
워싱턴/이본영 특파원
eb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