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국제 미국·중남미

미국 65살 이상 100명 중 1명은 코로나로 사망

등록 2021-12-14 08:45수정 2021-12-14 09:12

80만명 육박 사망자 중 60만이 노인
심장병과 암 이어 3위 사망 원인으로
13일 미국 뉴욕의 한 상점에 마크스 착용이 의무화됐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욕/로이터 연합뉴스
13일 미국 뉴욕의 한 상점에 마크스 착용이 의무화됐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뉴욕/로이터 연합뉴스
미국의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사망자가 80만명에 육박한 가운데 65살 이상에서는 100명 중 1명이 이 바이러스에 희생된 것으로 집계됐다.

<뉴욕 타임스>는 코로나19 사태를 약 2년간 경험한 현재까지 미국에서 사망한 약 80만명 중 약 60만명이 65살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고 13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이 연령층에서 100명 중 1명은 코로나19로 목숨을 잃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신문은 미국의 고령층은 다른 어떤 집단보다도 큰 피해를 보고 있다고 했다. 65살 미만에서는 사망자 발생이 1400명 중 1명이다. 미국에서도 노인들이 먼저 백신을 접종한 영향 등으로 올해 들어 젊은층 사망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아졌으나 지난 두 달 간은 노인 사망자 비율이 다시 증가해 75%에 근접하고 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심장병과 암에 이어 노인 사망 원인 3위 질환으로 떠올랐다. 당뇨, 사고사, 알츠하이머보다 많은 노인 목숨을 앗아가고 있다.

<뉴욕 타임스>는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노인의 죽음과 관련해 ‘다른 사유로도 목숨을 잃을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인식도 있었지만 이렇게 높은 사망률은 경각심을 일으킨다고 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코로나19 사태 첫해인 2020년에는 예년보다 18%나 많은 노인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직장과 학교가 정상 운영에 들어가면서 노인들 사이에서는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일자리가 있는 노인들은 다시 직장으로 돌아가야 하고, 일상 회복이 바이러스를 더 확대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난 겨울에 코로나가 확산세를 보였던 점과 오미크론 변이 확산도 우려를 더하고 있다.

이본영 기자 eb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국제 많이 보는 기사

[단독] 중국 ‘금’ 린샤오쥔 엉덩이를 툭…밀어주기 반칙 정황 1.

[단독] 중국 ‘금’ 린샤오쥔 엉덩이를 툭…밀어주기 반칙 정황

쇼트트랙, 오늘도 금빛 질주…남녀 1000m·계주 중국과 격돌 2.

쇼트트랙, 오늘도 금빛 질주…남녀 1000m·계주 중국과 격돌

트럼프 “말도 안 되는 종이 빨대…플라스틱으로 돌아간다” 3.

트럼프 “말도 안 되는 종이 빨대…플라스틱으로 돌아간다”

한국, AG 첫날 금메달 7개 ‘콧노래’…2005·2006년생 ‘씽씽’ 4.

한국, AG 첫날 금메달 7개 ‘콧노래’…2005·2006년생 ‘씽씽’

500m 금 따고 통곡한 린샤오쥔…중국에 쇼트트랙 첫 금메달 5.

500m 금 따고 통곡한 린샤오쥔…중국에 쇼트트랙 첫 금메달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