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직장·취업

이직 향한 스펙은 ‘전문성+좋은 평판’

등록 2010-11-11 08:57

삼성·LG 등 인맥 중시
구체적 경력자료 갖춰
오래 일할 비전 보여야
신입사원 공개채용이 끝나면 경력자를 위한 ‘취업시장’이 열린다. 평생 직장 개념이 사라진 시대, 나은 조건으로 떠나는 것은 옛 직장에 대한 ‘배신’이 아니라 자신의 성장을 위한 전략으로 받아들여진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직장인 1121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 50.6%가 올 하반기에 이직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그렇다고 언제나, 어디로나 떠나는 게 능사가 아니다. 모든 일에는 전략이 필요하다.

■ 떠나야 할 때, 머물러야 할 때 이직을 감행할 첫째 조건은 ‘절’이 싫을 때다. 아무리 노력을 하더라도 기업 문화나 직속 상사와의 관계 등에서 해결책이 보이지 않는다면 차리리 떠나는 게 좋다. 회사도 사람과 사람이 만나 함께 협력하는 공동체다. 일하는 사람 때문에 심한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정신적으로도 힘들지만, 업무 능률도 떨어진다.

회사의 보상이 불공정할 때도 이직을 고려해볼 만하다. 예컨대 연봉이 5000만원이면, 높은 수준처럼 보이지만, 기업 내에서 하위 수준이라면 심리적으로 박탈감을 느끼기 마련이다. 자신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에 따른 보상을 해주는 조직으로 옮기는 것이 업무성과를 끌어올릴 수 있는 길이다.

반대로, 승진이나 경력을 쌓을 기회가 기대될 경우엔 당장 눈앞에 보이는 조건을 따라 이직하기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기다리는 게 현명하다. 직무 교육을 지원받거나 중요 프로젝트에 참여한다면 그 과정을 끝내는 게 좋다. 이런 기술과 경험이 다음 이력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지난 9월30일 오전 서울 마포구청 로비에서 열린 ‘4050 중견전문인력 잡페어’에서 참가자들이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 김태형 기자 <A href="mailto:xogud555@hani.co.kr">xogud555@hani.co.kr</A>
지난 9월30일 오전 서울 마포구청 로비에서 열린 ‘4050 중견전문인력 잡페어’에서 참가자들이 구직활동을 하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 잦은 이직은 마이너스 잦은 이직은 아무래도 마이너스 요인이다.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인사담당자 429명을 대상으로 경력사원을 채용할 때 입사지원서에서 주의깊게 보는 사항을 조사했더니, 49.2%가 이직 횟수 및 근속기간을 꼽았다. 옛 직장에서의 성과 내용(35.9%)보다도 높은 수치다.

이력서를 작성할 때 6개월 미만의 경력은 적지 말라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아니면 옮긴 회사마다 이직 사유를 한 줄 정도로 간략하게 정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회사 사정으로 부도가 났거나 자금 사정 악화로 감봉이 된 상황을 일부러 숨길 필요는 없다. 근무한 회사에서 무엇을 얻었고, 새 직장에 입사해서 그것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 전달하면 오히려 경쟁력이 될 수 있다. 다른 꿈을 펼치기 위해 퇴사를 했다는 등 자신감 있는 설명도 플러스 점수를 얻는다. 아울러 이번 직장만큼은 결코 쉽게 옮기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힐 필요가 있다. 탐나는 인재라고 해도 언젠가 떠날 사람이라는 인상을 주면 기업은 채용하지 않는다.

■ 평판 관리에 신경써야 업무 전문성은 경력직 취업의 기본사항이다. 경력기술서에 과거 수행한 프로젝트를 나열하거나 사업제안서, 기획안 등 포트폴리오를 준비해 자신의 능력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게 도움이 된다. 요즘에는 인성이나 성실도와 같은 주관적인 요소들도 평가항목에 넣고 있다. 옛 직장 동료나 상사에게 지원자의 대인관계, 근무태도, 이직 사유, 조직 적응력 등을 묻는 ‘평판 조회’가 대표적이다. 특히 평판은 경쟁이 치열할 때 최종 합격자를 가리는 결정타가 된다.


인적 네트워크와 인맥도 평가받는다. 다른 기업과 협력해 사업을 추진하기 때문에 어떤 사람과 인맥을 맺고 있는지가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인맥을 한눈에 보여줄 수 있도록 문서화해두면 편리하고, 추천서나 인물평을 곁들이면 신뢰감을 얻을 수 있다. 경력직은 공채라고 해도 채용 절차나 평가 기준이 잘 드러나지 않는다. 예컨대 삼성과 씨제이(CJ)는 지원자 평판을, 엘지(LG)는 조직과의 화합을 중시한다고 알려져 있다. 지원할 기업을 정하면, 그 기업에 대해 보고서를 쓸 수 있을 만큼 연구해 다른 지원자와의 차별성을 드러내야 한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

도움말 취업포털 커리어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1.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기내 보조배터리 직접 소지하라는데…안내대로 하면 되나요? 2.

기내 보조배터리 직접 소지하라는데…안내대로 하면 되나요?

‘공모주 지옥’이 열렸나, 새해 상장 넷 중 셋 30% 넘게 폭락 3.

‘공모주 지옥’이 열렸나, 새해 상장 넷 중 셋 30% 넘게 폭락

1월 수출 10.3% 감소…무역수지 20개월 만에 적자 4.

1월 수출 10.3% 감소…무역수지 20개월 만에 적자

환율 21원 급등, 반도체주 급락…딥시크·금리동결 악재 한번에 5.

환율 21원 급등, 반도체주 급락…딥시크·금리동결 악재 한번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