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직장·취업

대기시간엔 준비한 자료봐라

등록 2010-10-28 09:15

면접시험에 응시한 한 수험생이 피곤한 듯 손으로 얼굴을 감싸고 있다.  김태형 기자 <A href="mailto:xogud555@hani.co.kr">xogud555@hani.co.kr</A>
면접시험에 응시한 한 수험생이 피곤한 듯 손으로 얼굴을 감싸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면접지원자의 ‘좋은 예…나쁜 예’
‘면접 대기실에서 신문을 볼까, 질문을 할까?’ ‘면접장에 들어가면 목례를 할까, 큰소리로 인사를 할까?’ ‘모르는 질문을 하면 답변을 할까, 모른다고 할까?’ 면접을 앞둔 지원자는 걱정이 많다.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인사담당자 429명에게 면접 시작부터 끝까지 그 사소한 고민들의 정답을 물었다.

면접은 면접장에 들어가기 전에 시작된다. 차례를 기다릴 때부터 점수가 매겨진다. ‘미리 준비해 온 면접 자료를 읽으며 시간을 보내는’(65.7%) 지원자를 인사담당자는 선호한다. ‘다른 지원자들과 대화하는’(28.9%) 지원자는 자칫 수다스럽게 보인다. 그래도 ‘가만히 앉아 있기만 한 것’(5.4%)보다는 낫다.

면접장에 들어서면 ‘가벼운 목례를 하고 자리에 앉으면’(54.3%) 된다. ‘소리 내 인사하면’(45.2%) 적극적인 인상을 준다. ‘인사 없이 앉으면’(0.5%) 감점이다. 첫번째 관문은 자기소개. 준비해가는 지원자가 많지만, 인사담당자는 ‘자연스럽게 그 자리에서 설명하는 걸’(88.1%) 좋아한다. ‘외워 대답하는 지원자’(11.9%)는 모범 답안을 읽어내려가는 느낌이라 진정성이 떨어진다. 답변을 미리 준비했더라도 자연스러운 연기가 필요하다.

모르는 질문이 나오면, 역시 ‘아는 부분만이라도 대답하는’(48.3%) 게 좋다. 그마저도 안 되면 차라리 ‘솔직히 모르겠다’(45.5%)고 말하라. ‘질문과 관계없는 답변은, 아무리 충실히 말해도’(6.3%) 좋은 결과를 얻기 힘들다.

질문을 마구 던질 때가 있다. 이때는 ‘앞서 대답한 사람의 의견을 듣고 자신의 의견을 밝히는 지원자’(56.6%)가 눈길을 받는다. ‘손을 먼저 든 지원자’(37.1%)도 괜찮지만, 무작정 기다리는 것(6.3%)은 피해야 한다. ‘맨홀의 뚜껑은 왜 동그란 모양인가?’ 이런 엉뚱한 질문에는 ‘독특하고 재치있게 답변’(61.1%)을 내놓아야 창의성을 인정받는다. ‘현실적인 답변’(38.9%)은 신선함이 떨어진다.

어느새 마지막 순서다. ‘꼭 입사하고 싶다는 의견을 다시 한번 밝히며’(66.4%) 마무리하라. ‘다음에 더 잘할 수 있다’(31.2%)고 말하는 것보다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할 말이 없다’(2.3%)는 반응은 당연히 좋은 점수를 얻지 못한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1.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기내 보조배터리 직접 소지하라는데…안내대로 하면 되나요? 2.

기내 보조배터리 직접 소지하라는데…안내대로 하면 되나요?

‘공모주 지옥’이 열렸나, 새해 상장 넷 중 셋 30% 넘게 폭락 3.

‘공모주 지옥’이 열렸나, 새해 상장 넷 중 셋 30% 넘게 폭락

1월 수출 10.3% 감소…무역수지 20개월 만에 적자 4.

1월 수출 10.3% 감소…무역수지 20개월 만에 적자

환율 21원 급등, 반도체주 급락…딥시크·금리동결 악재 한번에 5.

환율 21원 급등, 반도체주 급락…딥시크·금리동결 악재 한번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