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기반형’ 아이템 늘어
정부 ‘모바일 1인기업’ 육성
서울시도 예비 CEO 모집
정부 ‘모바일 1인기업’ 육성
서울시도 예비 CEO 모집
달라지는 청년창업 어떻게 이달 들어 주요 기업의 상반기 공채 소식이 이어지면서, 취업 준비생의 발걸음도 분주해지고 있다. 그러나 대학 졸업을 앞두거나 사회에 첫발을 내딛는 20~30대 청년층이 직장을 구하는 방법으로 ‘취업’ 말고 ‘창업’을 선택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실제로 지난달 중소기업청이 발표한 창업 통계를 보면, 3월 한 달 동안 30대 미만의 창업 법인 수는 전달에 견줘 33.3%가 늘어난 332개로 창업에 눈을 돌리고 있는 청년층이 늘어나는 분위기다. 창업 아이템도 단순히 ‘치킨집’을 여는 식이 아닌 ‘지식 기반 사업’을 추구하는 움직임이 일고 있어, 정부에서도 이에 맞는 새로운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 정부 지원 프로그램 활용하려면 최근 불고 있는 ‘스마트폰’ 열풍에 맞춰, 중소기업청에서는 지난달 30일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앱) 개발자를 지원하는 ‘모바일 1인 창조기업 육성 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2012년까지 모바일 1인 창조기업 1만개를 키우는 것을 목표로, 서울대·세종대·단국대 등 전국 11곳의 대학에 ‘앱 창작 터’를 마련해 개발자들을 직간접적으로 지원하겠다는 내용을 뼈대로 하고 있다. 중기청은 앱 창작 터에서 해마다 4500명의 초급개발자를 무료로 교육하고, 이 가운데 우수한 학생을 뽑아 에스케이(SK)텔레콤과 케이티(KT) 등 이동통신사의 전문개발자 교육과정을 연결해 전문가로 양성할 계획이다. 또 대학의 우수한 앱 창작 동아리에는 300만원까지 운영 비용을 지원해주고, 개발된 앱의 국외 판매 등을 돕는 ‘글로벌 앱 지원센터’도 설치해 운영할 계획이다. 100억원 규모의 개발 자금도 마련해 지원하고 기업당 3억원까지 모두 300억원의 특례보증도 지원한다. 이러한 정부의 파격적인 지원은 전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하지만 영업비가 들지 않고 수익 구조가 명확한 앱 시장이 ‘청년 창업’에 적합하다는 판단이 깔려 있는 것이기도 하다. 그 밖의 창업 아이템도 정부의 창업 지원 프로그램을 잘 활용하면 실제 창업으로 이어갈 수 있다. 서울시에서 오는 10일까지 만 20~39살을 대상으로 지원자를 모집하고 있는 ‘청년창업 1000 프로젝트’에서는 창업 주제에 따라 서울 강남·강북청년창업센터에 업무 공간을 제공하고, 매달 70만~100만원 규모의 창업 아이템 개발비용도 지원받을 수 있다. 또 지난달 23일 노동부가 발표한 ‘창직·창업 인턴제’에서는 창업을 준비하는 대학생이나 일반인이 한국콘텐츠진흥원·한국디지털컨버전스협회·한국소호진흥협회 등 5곳의 기관에서 인턴을 하면서 창업 기술을 전수받을 수 있다. 또 중소기업청이 매해 초 신청자를 받는 각종 창업역량강화 사업을 통해서 창업 준비 교육 등을 받을 수도 있다.
‘청년 창업’을 지원하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프로그램
김성환 기자 hwa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