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고용 지표 추이
27개월만에 최대 증가…고용률, 금융위기 전보다 크게 낮아
지난달 취업자 수가 27개월 만에 최대 증가 폭을 보이는 등 고용시장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고용률이 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기에는 아직 갈 길이 멀어 구직자들이 체감하는 고용 사정은 여전히 차가운 상황이다. 14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2337만7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26만7000명 늘었다. 이는 2007년 12월 26만8000명 증가 이래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다. 이런 증가세는 3월부터 희망근로 등 정부 일자리 사업이 다시 시작된 것과 내수·수출 확대 등 민간 부문의 경기회복세가 가시화하고 있는 점이 맞물린 결과로 보인다. 취업자 수 증가를 부문별로 보면 정부 일자리 사업을 반영하는 공공행정이 7만5000명 증가했고, 민간 부문에서 19만2000명 증가했다. 민간 부문 취업자는 지난 2월 15개월 만에 플러스(+)로 돌아선 데 이어 두달째 증가세다. 예년보다 추웠던 3월 날씨 탓에 18만8000명이나 줄어든 농림어업 부문을 빼면 민간 부문 취업자 증가 폭은 38만명으로 커진다. 지난 1월 5%까지 치솟았던 실업률도 2월 4.9%로 내려간 데 이어 지난달에는 4.1%로 떨어졌다. 기획재정부는 “1~2월에 희망근로 신청자들이 실업자로 분류되면서 급등했던 실업률이 정상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업자 수는 100만5000명으로 석달 연속 100만명을 상회했다. 청년실업률은 2월(10.0%)보다는 하락했지만, 9.0%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상용직이 늘고 일용직과 자영업자가 감소하는 현상은 계속됐다. 상용근로자는 75만2000명 증가한 반면 일용근로자는 24만7000명 감소했고, 자영업자와 무급가족종사자를 합친 비임금근로자도 27만4000명이나 줄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07만3000명으로 19만8000명 늘었고, 이 가운데 구직단념자는 24만7000명으로 7만7000명 증가했다. 하지만 지난해 고용이 워낙 열악했던 탓에,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예년 수준(25만~30만명)을 회복한다고 해도 체감 고용사정이 온기를 되찾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고용상황을 가장 정확하게 반영하는 고용률을 보면 지난달 57.8%로 금융위기 이전인 2008년(59.5%)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안선희 기자 s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