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까지 고용창출 계획
정부가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고용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수단을 적극 동원해, 올해말까지 3만개 이상의 새 일자리를 만들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28일 “최근 고용부진이 지속되면서 서민층을 중심으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올해 하반기부터 즉시 실행 가능하고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에 따라 올해 사용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거나 집행이 부진한 사업의 재원을 정상 추진중인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등 일자리 창출을 많이 할 수 있는 사업에 전용할 수 있도록 했다. 9월부터 매달 집행을 점검해, 예산 집행이 부진한 사업의 전용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연말에 예산의 이월이나 불용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약 1만2천명이 새 일자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계산했다.
각 부처의 일자리 사업도 적극 확대해, 약 1만4천개의 일자리를 만들기로 했다. 미취업청년의 직장체험 연수 등 취업지원사업과 사회적 일자리 확충, 공공기관의 청년 인턴제 도입, 초등학교 체육보조교사 지원 등 올해안에 확대 가능한 사항을 발굴해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주요공기업의 올해 추가 투자규모도 당초 4조6천억원에서 5조원으로 늘리기로 했다. 이에 따른 고용창출 기대치는 4천명이다. 또 사회간접자본 사업의 적기 완공을 위한 계속비 사업의 민간선투자 규모도 당초 3천억원에서 5천억원으로 늘어나 4천명을 추가 고용 할 방침이다. 이와함께 정부는 내년도 일자리 사업도 조기에 착수할 수 있도록 사전준비를 철저히 한다는 계획이다.
김수헌 기자 minerv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