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고졸 근로자간 임금격차가 3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고용구조의 변화와 학력별 임금격차'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기준 대졸-고졸간 시간당 임금차이는 29.8%였다. 이들간 임금차이는 1980년 39.6%에서 1997년 19.5%까지 줄었으나 1998년부터 확대되기 시작했다.
고졸-전문대졸 임금차이는 1980년 12.3%에서 1996년 3.4%로 좁혀졌다가 2007년 8.5%로 커졌다. 중졸이하의 임금은 고졸에 비해 8∼13% 낮았다.
산업별로는 건설과 제조업의 학력간 임금격차가 상대적으로 작았으나 운수.창고.통신업은 컸다.
학력간 임금격차는 경기가 좋아질수록 확대되고 노동생산성이 높을수록 축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의 비중이 일정수준을 넘으면 그 차이는 커지고 여성의 비중이 일정 수준을 넘으면 작아지는 현상도 나타났다.
김우영 한은 금융경제연구원 과장은 "학력간 임금격차는 단순히 수요-공급 뿐 아니라 고용구조 변화 등 다양한 변수에 의해 결정된다"고 말했다.
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은 나이가 많아질수록 증가하다 42세 이후에는 감소했다. 근속연수 1년 증가시 시간당 임금은 2.6% 상승했다.
또 사업체의 규모가 클 수록 시간당 임금은 높았다. 근로자 5∼9인 사업체에 비해 10∼29인 사업체는 10.2%, 30∼99인 업체는 15.8%, 100인이상 사업체는 21.8∼45.4% 각각 높았다.
(서울=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