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 조사…기능직 인력난 심화
대-중소기업간 임금·근로조건 격차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중소기업 기능직의 인력난이 심각한 수준에 이르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7일 산업연구원이 내놓은 ‘중소기업 인력수급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보고서를 보면, 2006년 기준 중소제조업체의 월평균 임금은 177만6천원으로 대기업(333만2천원)의 53.5% 정도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율은 1995년 64.5%에서 2000년 54.9%로 떨어지는 등 ‘임금 양극화’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중소 제조업체의 인력공급원 자체도 막힌 상황이다. 전문계(실업계) 고교 졸업자 수는 2000년 29만1천명에서 2006년 16만3천명으로 급감했다. 이 기간 고교 졸업자의 취업률은 51.4%에서 25.9%로 줄어든 반면, 진학률은 70%대까지 치솟았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중소기업의 체감 인력난은 심각한 상황이다. 중소기업청의 조사 결과, 종사자수 5인 이상 중소제조업의 전체 부족인원수는 2007년 9월 기준 9만444명, 기능직 부족인력은 3만9505명으로 추산된다.
보고서를 작성한 양현봉 연구위원은 “중소기업 기능직 종사자에 대한 근로소득 추가 공제로 임금격차를 줄여 주고, 고교 졸업 뒤 중소기업에서 일하는 기능인력이 전문학사 학위를 얻는 학위 연계형 교육 프로그램 도입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임주환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