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크루트 주최로 지난해 한 대학에서 열린 취업설명회에서 참석자들이 면접 준비에 대한 강의를 듣고 있다. <한겨레> 조사 결과 대졸자들이 취업에 성공하기까지 인문사회계 7.6개월, 이공계 5.3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류우종 <한겨레21> 기자 wjryu@hani.co.kr
취업 좁은문 대안은 없나
인문계 졸업자의 취업문을 넓힐 길은 없을까. 전문가들은 고용서비스의 선진화, 일자리 창출을 위한 산업정책, 대학교육 및 직업훈련 개편 등에서 길을 찾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먼저 인력공급과 기업수요를 잇는 고용서비스 인프라의 구축이 시급하다는 분석이다. 한국의 고용지원업종 종사자 대비 경제활동인구 비율은 ‘1 대 10000’으로 독일과 스웨덴의 ‘1 대 430’보다 턱없이 높다. 또 앞으로 어떤 직종에서 일자리가 늘어날지를 분석해 미리 취업준비에 활용하도록 하는 ‘매칭 시스템’도 갖춰져 있지 않다. 정인수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대졸자의 경우 연고에 의한 취업이 45%나 되는 반면 공공 및 민간 직업안정기관을 통한 경우는 6%에 그치는 실정”이라며 “고용서비스센터를 늘리는 등 인프라 구축을 위한 투자에 나서야 대졸자 실업문제를 풀 수 있다”고 진단했다.
연계 전공 북돋우고 4+1 과정 도입
IT등 실용학문 이수하게 몇몇 대학에서 시행 중인 연계전공 제도도 인문사회계열 졸업자들의 취업경쟁력을 높일 대안으로 꼽힌다. 연계전공을 활용하면 단과대학의 벽을 넘어서 특종 직종 전문가를 키울 수 있다. 경희대의 경우 생활과학대 학생들 중에서 행정학과의 관련수업 학점을 이수한 학부 졸업자에게 ‘노인복지 상담 전공’ 자격을 주고 있다. 학과를 새로 만들지 않고도 고령화사회에 필요한 인력을 배출하자는 취지다. 사회적 수요를 예측해 탄력적으로 전공을 개설하거나 정원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현재 우수학생들에게 석사 취득기간을 1년 단축시켜 주는 학석사 연계제도(4+1제도)를 응용하자는 제안도 있다. 국문과 졸업자에게 정보통신 콘텐츠 석사과정을 밟을 기회를 주는 등 인문계 순수학문 전공자가 1년 과정의 실용학문 수업을 듣게 해 석사학위를 주면 취업률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가 나서서 중소기업의 일자리 경쟁력을 높여주는 방안도 있다. 중소기업은 인건비 부담 때문에 직원복지에 들어가는 추가비용을 감당하기 힘들고, 인사관리를 체계화하기도 어렵다. 이주희 이화여대 교수(사회학)는 “여러 중소기업이 모여 한 명의 인사컨설턴트를 고용하도록 정부가 네트워킹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며 “육아휴직 비용 감면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근무조건 향상을 유도하는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 지역별 업종별 직업훈련 시스템의 재구축도 대안으로 꼽혔다. 부산과 대구의 중요 업종이 다르기 때문에 그 지역에 필요한 인력과 훈련도 다를 수밖에 없다. 각 지역의 중요 업종에서 필요한 인력을 분석해 이를 기반으로 직업훈련을 하면, 청년실업과 생산직 인력난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문계는 법이나 행정, 이공계는 연구나 기술분야로 가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벗어나 ‘틈새 취업시장’을 개척할 필요도 있다. 구직자와 기업 모두 ‘일자리 퓨전’을 시도해 보자는 것이다. 예컨대 정보통신 분야의 경우 하드웨어만큼 콘텐츠의 확보도 중요한데,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정보통신 인력 또는 정보통신 기술을 습득한 콘텐츠 개발자를 늘리면 기업에도 큰 힘이 될 수 있다. 임주환 기자, 김현진 인턴기자
IT등 실용학문 이수하게 몇몇 대학에서 시행 중인 연계전공 제도도 인문사회계열 졸업자들의 취업경쟁력을 높일 대안으로 꼽힌다. 연계전공을 활용하면 단과대학의 벽을 넘어서 특종 직종 전문가를 키울 수 있다. 경희대의 경우 생활과학대 학생들 중에서 행정학과의 관련수업 학점을 이수한 학부 졸업자에게 ‘노인복지 상담 전공’ 자격을 주고 있다. 학과를 새로 만들지 않고도 고령화사회에 필요한 인력을 배출하자는 취지다. 사회적 수요를 예측해 탄력적으로 전공을 개설하거나 정원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현재 우수학생들에게 석사 취득기간을 1년 단축시켜 주는 학석사 연계제도(4+1제도)를 응용하자는 제안도 있다. 국문과 졸업자에게 정보통신 콘텐츠 석사과정을 밟을 기회를 주는 등 인문계 순수학문 전공자가 1년 과정의 실용학문 수업을 듣게 해 석사학위를 주면 취업률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정부가 나서서 중소기업의 일자리 경쟁력을 높여주는 방안도 있다. 중소기업은 인건비 부담 때문에 직원복지에 들어가는 추가비용을 감당하기 힘들고, 인사관리를 체계화하기도 어렵다. 이주희 이화여대 교수(사회학)는 “여러 중소기업이 모여 한 명의 인사컨설턴트를 고용하도록 정부가 네트워킹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며 “육아휴직 비용 감면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근무조건 향상을 유도하는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 지역별 업종별 직업훈련 시스템의 재구축도 대안으로 꼽혔다. 부산과 대구의 중요 업종이 다르기 때문에 그 지역에 필요한 인력과 훈련도 다를 수밖에 없다. 각 지역의 중요 업종에서 필요한 인력을 분석해 이를 기반으로 직업훈련을 하면, 청년실업과 생산직 인력난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인문계는 법이나 행정, 이공계는 연구나 기술분야로 가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벗어나 ‘틈새 취업시장’을 개척할 필요도 있다. 구직자와 기업 모두 ‘일자리 퓨전’을 시도해 보자는 것이다. 예컨대 정보통신 분야의 경우 하드웨어만큼 콘텐츠의 확보도 중요한데,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정보통신 인력 또는 정보통신 기술을 습득한 콘텐츠 개발자를 늘리면 기업에도 큰 힘이 될 수 있다. 임주환 기자, 김현진 인턴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