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사정이 나아지는 걸까. 국내 주요 기업들을 상대로 한 조사에서 ‘올해 고용시장이 코로나19 사태 이전으로 회복될 것’이란 답변이 80%가량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302개사를 대상으로 올해 ‘채용 트렌드’를 조사해 22일 내놓은 결과를 보면, 79.8%가 “고용 규모가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69.2%)되거나 “더 늘어날 것”(10.6%)이라고 응답했다. “코로나 영향으로 줄어든 수준이 유지”(15.9%)되거나 “더 줄어들 것”(4.3%)이라는 답은 20.2%였다.
통계청 조사에선 1월과 2월 취업자 수가 지난해 같은 달에 견줘 각각 114만명, 104만명 늘어 두 달 연속 100만명 이상씩 증가했고, 취업자 수 증가로 2월 15~64살 고용률은 역대 최고 수준인 67.4%(계절 조정)를 기록했다.
전반적인 고용시장 개선 흐름에 견줘 대졸 신입 채용 시장의 회복세는 더딜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 기업의 80.1%가 올해 대졸 신입사원 채용 계획을 세웠으나, 채용 규모는 “지난해와 비슷하다”는 기업이 71.9%, “늘리겠다”는 기업은 20.7%였다. “줄일 것”이라는 기업은 7.4%로 나타났다.
채용 계획을 수립한 기업들의 채용 분야(복수 응답)로는 ‘행정·사무’가 65.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제조·엔지니어’ 62.5%, ‘영업·영업 관리’ 50.0%, ‘연구·개발(R&D)직’ 39.6%, ‘정보기술(IT)·정보통신’ 20.4%, ‘단순 생산직’ 8.3% 순이었다.
코로나 이후 바뀐 채용 트렌드는 올해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채용 경향(복수 응답)에 대해 기업의 62.6%가 ‘대규모 공채보다 수시채용 비중 증가’를 꼽았다. 이어 ‘이공계 인력 채용 확대’ 53.9%, ‘신입보다 경력직 선호’ 52.1%, ‘비대면 채용전형 도입·지속’ 44.7%, ‘미래산업 분야 인재 채용 증가’ 36.6% 순이었다. 대졸 신입 채용 때 가장 중요하게 보는 항목(복수 응답)으로는 ‘직무 관련 경험’(64.9%)을 앞자리에 꼽았다. 이어 ‘직무 관련 지식’(57.0%), ‘태도·인성’(53.6%), ‘관련 자격증’(12.3%) 순이었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