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서울 동작구 소상공인연합회에서 열린 코로나19 소상공인 피해 사례 관련 긴급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생존권 보장을 촉구하며 큰절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소상공인들이 긴급구호자금을 지원해달라고 촉구하고 나섰다. 중소기업들은 추가경정예산안의 시급한 통과를 요구했고 대한상공회의소는 추경 규모를 확대해달라고 호소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12일 기자회견을 열고 3개월 동안 12조원 규모의 소상공인 생계비를 지원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대구·경북 소상공인들에게는 최저임금 이상인 월 200만원 정도, 다른 지역 소상공인들에게는 월 150만원 정도의 긴급구호 생계비를 3개월간 지급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부가세 인하 등 세제 감면 조처, 기존 대출의 부담 완화 방안, 5인 미만 소상공인을 위한 고용유지 지원대책 등을 강구해달라고 했다. 서울 구로구에서 카센터를 운영하는 이석민 대원자동차공업사 대표는 이날 “소상공인 대출을 신청했지만 신용등급이 낮아 세 번 모두 거절당했다”며 “카드 연체 한 번만 있어도 신용등급이 단숨에 떨어지는데 소상공인들은 그 등급으로 대출을 받으러 가면 다 거절당한다”고 말했다.
중소기업중앙회와 한국여성경제인협회 등 14개 중소기업단체는 이날 코로나19 추경안이 통과돼야 한다는 호소문을 냈다. 이들은 “중소제조업체들은 원·부자재와 부품 조달 곤란으로 생산이 위축되고 있고, 중국 등 100여개 국가가 입국을 제한하면서 우리 경제를 지탱하던 수출입마저 경고등이 켜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중소기업의 어려움과 코로나19 추경안 통과의 시급성을 설명하기 위해 국회를 방문할 예정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이날 8대 분야 30개 과제를 담은 ‘코로나19의 경제적 충격 극복 방안’을 정부에 건의했다. 지난 9일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이 ‘추경 40조원 증액’을 요구한 데 이어 이날 건의에서도 추경 규모를 대폭 확대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대한상의는 포장용 박스를 제작하는 소상공인이 지원 창구를 찾았지만 대출 심사에만 최대 2개월이 소요될 수 있다고 통보받은 사례 등을 제시하며 “일선 창구에서 기존의 복잡한 절차와 엄격한 요건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한상의는 기준금리 인하, 임시공휴일 지정, 임시투자세액공제 제도 부활 등 전방위적인 지원을 요구했다.
김윤주 기자
k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