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경기전망이 두달 연속 개선 추세는 나타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전국 중소기업 3150곳을 상대로 실시한 ‘중소기업 경기전망조사’에서 4월의 업황전망 중소기업건강도지수(SBHI)가 93.2로 전달보다 2.6포인트, 지난해 같은달에 견줘서는 1.7포인트 상승했다고 27일 발표했다. 이 지수는 100 이상이면 긍정적으로 응답한 업체가 그렇지 않을 것으로 보는 업체보다 더 많음을 나타내며, 100 미만이면 그 반대이다. 3월 업황실적 지수도 85.7로, 전달보다 10.6포인트나 올랐다.
업종별 전망지수를 보면, 제조업은 전달대비 소폭(-0.2포인트) 내려갔으나 비제조업을 중심으로 경기전망 개선(4.4포인트 상승)이 두드러졌다. 서비스업은 경기회복에 추세에 대한 기대감으로 4.6포인트 상승하고 건설업도 공공발주 물량 증가와 심리적 호전으로 3.8포인트 올랐다. 항목별로로 내수판매(90.5→92.3), 수출(94.2→96.8), 영업이익(86.1→87.5), 자금사정(82.8→83.2) 등 거의 대부분 전달보다 개선 전망이 나왔다.
경영애로에 대한 설문 응답(복수응답)을 보면, ‘인건비 상승’이 59%로 석달 연속 최다 애로사항으로 조사됐다. 이어 ‘내수부진’(55.4%), ‘업체간 과당경쟁’(38.9%), ‘원자재 가격상승’(24.9%) 등의 차례로 응답률이 높았다. ‘인건비 상승’을 경영애로로 응답한 기업을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에서는 섬유제품, 자동차 및 트레일러, 고무제품 및 플라스틱 등 노동집약적 경공업부문에서 많았다. 비제조업에서는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과 교육서비스업에서 인건비 상승에 따른 부담이 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박순빈 선임기자
sbpark@hani.co.kr
href="https://www.hani.co.kr/arti/economy" target="_blank">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