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신항 수출화물 야적장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중소기업들이 내년 수출을 밝게 전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애로사항으로는 물류비 부담 증가와 원자재 가격 상승을 우선적으로 꼽았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11~18일 수출입 중소기업 500곳을 대상으로 조사해 23일 내놓은 ‘2022년 중소기업 수출전망 조사’ 결과를 보면, 40.4%가 내년 수출 전망 물음에 ‘좋음’이라고 응답했다. ‘나쁨’ 응답은 5.2%에 그쳤고, 나머지 54.4%는 ‘보통’이라고 밝혔다. 올해 수출 실적에 대해서는 34.4%가 지난해보다 ‘증가할 것’, 29.4%는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내년에 중소기업 수출과 관련해 예상되는 변수(리스크)로는 61.2%(중복응답)가 ‘선복 및 컨테이너 부족과 운임 상승 등 물류애로’, 47.8%는 ‘원자재 가격 상승’, 18.6%는 ‘원활하지 않은 출입국’을 우선적으로 꼽았다. 해운 선복량 부족과 운임 상승에 따른 물류비 부담 증가와 원가재값 상승 등이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중소기업 수출의 발목을 잡을 요인으로 꼽힌 것이다. 탄소중립과 이에스지(ESG)와 디지털 전환 등 통상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책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95.4%가 ‘없다’고 밝혔다.
정부가 중소기업 수출 촉진을 위해 해줬으면 하는 것으로는 ‘수출 화물 선박·항공 확보 및 운임 지원’(72%), ‘기업인 대상 출입국 제한 완화’(36.2%), ‘온라인 전시회 등 비대면 수출 마케팅 지원’(27.2%) 등이 꼽혔다.
함께 조사된 ‘물류애로 실태’를 보면, 수출입 물류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응답이 83.4%로 상반기(6월) 조사 때의 73.4%보다 10%포인트 높게 나왔다. 수출액에서 물류비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평균 9.97%로 상반기 조사 때의 6.84%보다 크게 높다. 중기중앙회는 “그만큼 운임 부담이 커졌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해운 물류난이 언제까지 지속될 것 같으냐는 질문에는 57.6%가 ‘2022 상반기’까지로 전망했고, 21.4%는 ‘2023년 상반기’까지로 내다봤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지난해 11월 이후 중소기업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수출실적 역시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으나 악화된 물류난이 위험요소가 되고 있다”며 “물류난이 앞으로도 최소 1년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정부의 단기적인 선복 확보 및 운임 지원과 함께 장기적인 해운물류 안정화 대책 마련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재섭 선임기자
j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