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인천·경기 등 수도권 지역의 집값 상승폭이 서울보다 훨씬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고가 아파트 대출 규제 강화, 공시가격 인상 여파로 상승폭이 줄었으나 수도권에선 이른바 ‘풍선효과’가 빚어진 탓이다. 다만, 코로나19 여파로 최근 들어 경기지역도 집값 상승세가 주춤해지는 분위기다.
1일 한국감정원의 ‘3월 전국 주택가격(아파트, 단독주택 등 종합) 동향’을 보면, 수도권(0.51% → 0.93%)과 지방(0.18% → 0.19%)은 전달보다 상승폭이 확대됐고 서울(0.15% → 0.13%)은 축소됐다.
서울은 강남권과 비강남권의 집값 흐름이 엇갈렸다. 강남권은 강남구(-0.20%), 송파구(-0.17%), 서초구(-0.13% )등이 일제히 전달보다 내렸다. 15억원 초과 아파트 대출 금지, 공시가격 상승에 따른 보유세 부담 영향으로 재건축 등 초고가 단지 위주로 하락폭이 확대됐다. 반면 강북권에선 노원구(0.38%), 도봉구(0.28%), 강북구(0.28%) 등 이른바 ‘노도강’을 비롯해 소형·저가 단지 및 정주여건이 양호한 뉴타운 위주로 집값이 상승했다.
서울과 달리 경기(0.78% → 1.31)와 인천(0.43% → 1.61%)은 교통여건 개선, 편의시설 확충, 정비사업 등 개발호재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집값이 많이 올랐다. 인천에서는 연수구(3.40%), 서구(2.80%), 남동구(1.57%) 등의 상승폭이 컸다. 경기 남부에선 수원시(4.03%), 용인시(2.09%)의 상승세가 가팔랐다. 다만, 지난달 20일 정부의 조정대상지역 대출 규제 강화 조처와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최근 이들 지역의 집값 상승세도 한풀 꺽이고 있다.
지방에서는 세종(4.24%)과 대전(1.30%)의 3월 집값 오름폭이 컸다. 세종시는 인구 유입 속도가 빨라진 반면 입주물량은 감소한 게 영향을 끼쳤고 대전은 정비사업 및 혁신도시 유치 기대감이 작용했다는 게 한국감정원의 분석이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