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부동산

“재건축·재개발 등 원활한 정비사업 위해 공공관리 강화해야”

등록 2020-01-28 17:12수정 2020-01-29 02:33

국토연구원 홍콩·일본 사례 연구보고서
국내 정비사업, 이해갈등 및 위법 행위 빈발
“공공관리 강화해 갈등 조정, 사업기간 단축해야”
서울 잠실 아파트단지. 연합뉴스
서울 잠실 아파트단지. 연합뉴스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추진과정에서 빚어지는 위법행위와 소송, 사업 장기화 등의 문제를 해소하려면 ‘공공관리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8일 국토연구원 최진도 연구원이 발표한 ‘홍콩과 일본 사례를 통해 살펴본 도시정비사업의 공공관리 확대방안 연구’ 보고서를 보면, 국내 도시정비사업은 이해관계자 간의 복잡한 갈등구조 속에 법·제도상 문제, 사업추진 절차상 문제, 운영·관리상 문제가 빈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공무원과 조합장, 지방공사 등 정비사업 관련자들에 대한 인터뷰 결과, 주민과 행정관청의 정보 공유 부족과 건설사에 사업비를 의존할 수밖에 없는 제도적 문제 등이 속히 해결돼야 할 과제로 꼽혔다. 최 연구원은 이에 대한 대안으로 홍콩의 ‘도시재개발(정비사업) 위원회’(Urban Renewal Authority) 제도와 일본의 ‘정비사업 코디네이터’ 지원제도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홍콩의 경우 준정부기관인 도시재개발 위원회가 공공의 개입을 통해 정부, 주민, 조합, 민간건설사 등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며 정비사업 재정 지원도 맡고 있다. 우리나라로 치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 주택도시보증공사(HUG), 한국감정원 등에 흩어진 도시재생 및 정비사업 지원조직이 하나의 통합된 기관으로 운영되는 셈이다. 또 일본에선 코디네이터 지원제도를 통해 사업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주민과 소통하는 창구를 마련해 이해관계자간 갈등을 해소하고 있다.

최 연구원은 “국내에도 2010년부터 정비사업 시행 과정을 지원하거나 위탁지원하는 공공관리지원 제도가 도입됐지만 법적인 의무조항이 아닌 데다 정비사업이 민간업체 중심으로 진행되면서 제구실을 전혀 못 하고 있다”며 “주민지향적인 공공기관의 관리감독 시스템과 재개발 코디네이터 제도 등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미국 영업 뛰어든 국내 보험사들, LA 산불 피해 전망 1.

미국 영업 뛰어든 국내 보험사들, LA 산불 피해 전망

“미국 주식 발 빼고 채권 사라”…전문가들 6대4 ‘방어 투자’ 권고 2.

“미국 주식 발 빼고 채권 사라”…전문가들 6대4 ‘방어 투자’ 권고

2%대 금리 ‘청년주택드림대출’ 출시…‘줍줍’ 청약은 무주택자만 3.

2%대 금리 ‘청년주택드림대출’ 출시…‘줍줍’ 청약은 무주택자만

삼성 1위라더니 다시 애플이? 스마트폰 점유율, ‘핵심’은 따로 있다 4.

삼성 1위라더니 다시 애플이? 스마트폰 점유율, ‘핵심’은 따로 있다

정부·교육청·지자체 얽힌 ‘고교 무상교육’…‘최상목 거부권’만 문제? 5.

정부·교육청·지자체 얽힌 ‘고교 무상교육’…‘최상목 거부권’만 문제?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