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부동산

고가 단독주택 공시가 ↑…12억~15억 집 10% 넘게 오른다

등록 2019-12-18 21:10수정 2019-12-19 10:21

내년도 표준단독주택 공시가 공개
전국 상승률 4.5%로 낮아졌지만
고가 주택 ‘공시가 현실화’ 반영
9억~12억 7.9%, 15억~30억 7.5%↑

서울 상승률 6.8%로 가장 높아
동작 10.6% 최고…마·용·성 뒤이어
대전 유일하게 올해보다 더 올라

재벌가 공시가 1~2%대 ‘찔끔 인상’
이명희 신세계회장 자택 277억 1위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정부가 시세 9억원 이상 주택의 공시가격 현실화 방침을 밝힌 가운데, 시세 12억~15억원 표준단독주택의 내년도 공시가격 상승률이 1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자치구 중에선 동작·성동·마포구의 상승률이 높았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감정원은 18일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시스템을 통해 전국 22만 호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안을 공개했다. 시·군·구 자치단체는 이를 기준으로 개별 단독주택의 공시가를 매기게 되므로 표준단독주택은 공동주택을 제외한 집값 공시가격 변동의 가늠자라고 할 수 있다.

국토부가 집계한 내년도 전국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상승률은 4.5%다. 9.13% 올랐던 올해의 절반에 못 미치지만 고가 주택은 상승폭이 컸다. 시세 12억~15억원 구간 공시가격 상승률이 10.1%로 가장 높았고, 9억~12억원 7.9%, 15억~30억원이 7.5% 올랐다. 이에 비해 3억 미만 표준단독주택 공시가 상승률은 2.4%, 3억~6억원 3.3%, 6억~9억원은 3.8%였다. 시세 9억원 이상 표준단독주택의 현실화율 목표치를 55%로 설정하고 고가 주택 중심으로 공시가 현실화율을 끌어올리려는 정부 정책이 반영된 결과다.

지역별 상승률은 서울이 6.8%로 가장 높았고 광주(5.9%)와 대구(5.8%), 세종(4.7%)이 평균치를 웃돌았다. 반면, 미분양 주택이 늘어나고 있는 제주의 표준단독주택 공시가는 1.6% 떨어졌고 불황을 보이고 있는 경남(-0.4%)과 울산(-0.2%)도 하락세를 보였다. 대전(4.2%)은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유일하게 공시가 상승폭이 올해(3.9%)보다 더 커졌다. ‘대·대·광’(대전·대구·광주)이라고 불리며 올해 지방 부동산 상승의 한 축을 담당했고 최근까지도 급등세를 유지하고 있는 탓으로 풀이된다.

서울 자치구 중에선 동작구가 10.6%로 유일하게 두 자릿수 상승률을 기록했다. 성동구가 8.9%로 그 뒤를 이었고 마포구(8.7%)와 영등포구(7.9%), 용산구(7.5%)도 상승률이 높았다. 강남 3구 중 송파구는 서울 평균치인 6.8%를 기록했고 서초구(6.6%)와 강남구(6.4%)는 이보다 낮았다.

올해 표준단독주택 공시가 현실화의 수단이었던 초고가 주택(시세 30억원 이상)의 상승률은 4.8%로 평균치보다 조금 높았다. 올해 50% 이상 급등했던 대기업 총수들의 내년도 표준단독주택 공시가 상승률은 1~2%대에 그쳤다. 국내 최고가 표준단독주택인 신세계그룹 이명희 회장의 서울 한남동 자택(연면적 2861.83㎡)의 공시가격은 올해 270억원에서 내년 277억1천만원(2.6%)으로 조정됐다. 지난해 공시가격은 169억원으로 올해 상승률은 59.7%였다. 지난해 공시가 108억원에서 올해 165억원으로 52.7% 오른 서경배 아모레퍼시픽 회장의 이태원동 주택(1184.62㎡)도 내년엔 167억8천만원으로 1.7% 소폭 오른다. 지난해 상승폭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초고가 주택의 공시가는 조금 더 오를 전망이다. 올해 표준단독주택 2위였던 이해욱 대림산업 부회장의 삼성동 집(2617.37㎡)은 167억원에서 178억8천만원으로 7.1% 오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집의 지난해 공시가는 135억원으로 올해 상승률은 23.7%였다.

이날 공개된 표준단독주택 공시가격 안은 인터넷을 통해 열람할 수 있으며 다음달 7일까지 소유자 의견을 들은 뒤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23일 확정된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형님! 딥시크를 저랑 비교하다니, 너무하십니다” GPT 능청 답변 1.

“형님! 딥시크를 저랑 비교하다니, 너무하십니다” GPT 능청 답변

편의점 도시락·즉석밥도 저속노화가 대세…‘맵단짠’ 그만 드세요 2.

편의점 도시락·즉석밥도 저속노화가 대세…‘맵단짠’ 그만 드세요

투자·절세 ‘만능 통장 ISA’…증권사·은행 어느 쪽 선택할까? 3.

투자·절세 ‘만능 통장 ISA’…증권사·은행 어느 쪽 선택할까?

중국 개발 ‘가성비 최강’ AI 등장에…미국 빅테크 ‘패닉’ 4.

중국 개발 ‘가성비 최강’ AI 등장에…미국 빅테크 ‘패닉’

‘이거 르노 차 맞아?’ 그랑콜레오스, 판매량 역주행 이유 있네 5.

‘이거 르노 차 맞아?’ 그랑콜레오스, 판매량 역주행 이유 있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