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부동산

“계약갱신청구권 도입해도, 전월세값 급등 제한적”

등록 2019-11-13 20:46수정 2019-11-14 02:32

임재만 세종대 교수팀 연구
“주택 임대차 2년+2년 보장 때
임대료 1.43~1.65% 인상 요인”
현행 2년인 주택 임대차 계약 기간이 끝났을 때 세입자에게 일정 기간 재계약할 권리를 보장해주는 ‘계약갱신청구권’을 도입해도 집주인이 전세금을 한꺼번에 미리 올리는 부작용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학계의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임재만 세종대 산업대학원 교수(부동산·자산관리학과)는 13일 국회에서 열린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을 위한 정책 좌담회’에서 발제자로 나서 법무부 용역인 ‘주택임대차 계약갱신청구권 도입 영향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좌담회는 계약갱신청구권 도입을 위한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을 추진 중인 더불어민주당 박홍근·박주민·표창원 의원과 시민단체인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연대’ 주최로 마련됐다.

임 교수가 연구책임을 맡아 한국부동산분석학회가 작성한 보고서를 보면, 계약갱신청구권을 ‘2년+2년’ 방식으로 도입할 경우 집주인이 갱신 시점에 시장임대료 수준으로 임대료를 받지 못하는 데 따른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초기 임대료를 1.43~1.65% 인상할 요인이 생기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계약 갱신 시점의 임대료 인상률에 대한 별도의 제약이 없는 가운데 예상 시장임대료 상승률은 2~11% 수준이라는 가정에서 분석한 것이다. 또 계약갱신청구권(2년+2년)과 동시에 임대료 인상폭도 제한하는 ‘전월세상한제’를 도입할 경우에는 초기 임대료 추정 상승률이 1.67~8.32%로 나왔다. 시장임대료가 안정적일 때는 임대료 규제의 부정적 영향이 적고 그 반대일 때는 부작용도 일부 생기는 셈이다.

임 교수는 “계약갱신청구권과 전월세상한제는 지금처럼 전세시장이 안정돼 있는 시점에 도입하는 게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서 “이른바 ‘깡통전세’ 위험에서 임차인 전세보증금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로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 상한’을 규제하는 방안도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또 고액 자산가나 고소득층이 거주하는 일정 기준 이상 고가 임차주택에 대해선 임차인 보호 제도를 적용하지 않는 방안도 검토 가능한 대안으로 제시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미국 주식 발 빼고 채권 사라”…전문가들 6대4 ‘방어 투자’ 권고 1.

“미국 주식 발 빼고 채권 사라”…전문가들 6대4 ‘방어 투자’ 권고

실수로 경로 놓쳐도…‘완전자율주행’ 테슬라는 당황하지 않아 [영상] 2.

실수로 경로 놓쳐도…‘완전자율주행’ 테슬라는 당황하지 않아 [영상]

2%대 금리 ‘청년주택드림대출’ 출시…‘줍줍’ 청약은 무주택자만 3.

2%대 금리 ‘청년주택드림대출’ 출시…‘줍줍’ 청약은 무주택자만

삼성 1위라더니 다시 애플이? 스마트폰 점유율, ‘핵심’은 따로 있다 4.

삼성 1위라더니 다시 애플이? 스마트폰 점유율, ‘핵심’은 따로 있다

겨울철 간식 어묵, 국물과 함께 먹으면 나트륨 ‘초과’ 5.

겨울철 간식 어묵, 국물과 함께 먹으면 나트륨 ‘초과’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