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부동산

소득 상하위 20% ‘집값 격차’ 최대폭 벌어져

등록 2019-03-26 18:27수정 2019-03-26 20:21

하위 1분위, 주택 마련에 21년
상위 5분위는 14.6년 걸려
2008년 12월 이후 최악
신혼집을 찾고 있는 한 부부의 모습. 탁기형 기자
신혼집을 찾고 있는 한 부부의 모습. 탁기형 기자
서울에 사는 상위 20% 고소득층과 하위 20% 저소득층의 소득 대비 집값이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계층 간 가구 소득 격차가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6일 케이비(KB) 국민은행의 ‘주택가격동향’을 보면, 지난해 12월 연소득(명목) 하위 20%인 1분위 가구(2인 이상·도시가구)의 서울 주택가격 1분위 기준 소득 대비 주택가격(PIR·Price to income ratio)은 21.0이었다. 이는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가구가 소득 수준과 비슷한 하위 20% 가격의 주택을 사려면 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21년간 모아야 한다는 뜻이다. 피아이아르(PIR)는 실제로 집을 마련할 수 있는 기간과 차이가 있지만, 소득과 비교한 주택가격을 보여주는 체감 집값 지표로 활용된다.

반면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가 가격 상위 20% 주택을 지출 없이 살 수 있는 기간(PIR)은 14.6년이었다. 결국 고소득층 가구와 저소득층 가구의 피아이아르 차이는 6.4년으로,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가장 컸다.

같은 분위의 주택가격을 기준으로 소득 1분위와 5분위 가구 간 피아이아르 격차는 2008년 12월 5.2(1분위 16.7, 5분위 11.5)를 기록한 뒤 꾸준히 하락해 2017년 12월에는 1.9(1분위 15.2, 5분위 13.3)까지 내려갔다. 그러나 지난해 집값이 상승하는 상황에서 분배 악화까지 심화하면서 분위별 피아이아르 격차는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벌어졌다.

케이비 국민은행 자료를 보면, 지난해 12월 기준 전년동기 대비 전국 주택가격 상승률은 3.16%였다. 같은 기간 계층 간 소득 격차는 크게 확대됐다. 지난해 4분기 1분위 가계소득(명목·전국)은 1년 전보다 17.7%나 줄어든 반면 5분위 가계소득은 10.4%나 껑충 뛰었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형님! 딥시크를 저랑 비교하다니, 너무하십니다” GPT 능청 답변 1.

“형님! 딥시크를 저랑 비교하다니, 너무하십니다” GPT 능청 답변

‘이거 르노 차 맞아?’ 그랑콜레오스, 판매량 역주행 이유 있네 2.

‘이거 르노 차 맞아?’ 그랑콜레오스, 판매량 역주행 이유 있네

국토부 “저비용항공사, 정비기준 집중 감독…새 항공기 검증도 강화” 3.

국토부 “저비용항공사, 정비기준 집중 감독…새 항공기 검증도 강화”

편의점 도시락·즉석밥도 저속노화가 대세…‘맵단짠’ 그만 드세요 4.

편의점 도시락·즉석밥도 저속노화가 대세…‘맵단짠’ 그만 드세요

중국 개발 ‘가성비 최강’ AI 등장에…미국 빅테크 ‘패닉’ 5.

중국 개발 ‘가성비 최강’ AI 등장에…미국 빅테크 ‘패닉’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