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건설 예정지 중 하나인 경기 남양주 왕숙지구 진건읍의 도로에 신도시 건설에 반대하는 내용의 펼침막이 걸려 있다. 남양주/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소득수준이 낮고 교통 인프라가 낙후된 지역일수록 교통비가 많이 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 격차 완화를 위한 정책 방안 마련이 긴요해 보인다.
국토연구원은 21일 ‘빅데이터로 살펴본 우리 동네 생활교통비용’ 보고서에서 경기 지역 560개 읍면동의 생활교통비용을 추정한 결과, 소득 하위 지역의 생활교통비가 중하위 지역보다 14만원, 소득 상위 지역보다 월 30만원 더 드는 것으로 추산됐다고 밝혔다.
생활교통비는 해당 지역에서 출발한 통행량 가운데 1% 이상 비중을 차지하는 통행을 뜻한다. 국토연구원은 티맵 등 내비게이션 사용량 등을 통해 지역별 통행량을 추출한 뒤, 이들 교통량의 소요시간과 유류비를 인터넷 포털 지도서비스를 통해 분석해 생활교통비를 추산했다.
분석 결과를 보면, 경기 지역에 있는 419개 동 지역은 생활교통비로 월 평균 27만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됐다. 34개 읍 지역은 51만원, 107개 면 지역은 53만원으로 나타났다. 교통 인프라 등이 낙후한 교외 지역일수록 생활교통비가 많이 든다는 추정인 셈이다.
경기 지역 가구들의 소득 대비 생활교통비 비중은 9%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도권 1기 신도시인 성남 분당구(4.6%), 군포시(4.9%), 안양 동안구(4.9%), 용인 수지구(5.2%) 등의 생활교통비 비중이 가장 낮은 편이었다. 2기 신도시인 남양주시, 화성시, 광주시 등은 모두 10%대 초반이었다.
국토연구원은 “빅데이터 융합을 통해 소득 수준과 연계한 생활교통비를 추산할 수 있었다”며 “생활교통 인프라 추가 등 지역 격차를 완화할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