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재건축 연한을 현행 30년에서 40년으로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초과이익환수제 예상 부담금을 ‘깜짝’ 공개하는 등 강도높은 재건축 규제를 예고하면서, 송파구를 비롯한 강남권 아파트값 급등세가 다소 주춤해졌다. 그러나 규제를 피해간 재건축 단지와 일반 아파트값이 오르는 ‘풍선효과’도 일부 빚어지는 등 전반적으로는 아파트시장 과열 양상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25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값 동향 조사’를 보면, 22일 기준 서울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한 주 전보다 0.38% 올랐다. 주간 상승률 기준으로 2013년 조사 이래 역대 최고 수준인 지난주(0.39%)와 비슷한 수준이지만 가파른 상승세는 주춤하는 모습이다.
서울 강남권에선 정부가 규제 엄포를 놓은 재건축시장을 중심으로 집값이 출렁였다. 지난주 1.39% 상승률로 강남권 급등세를 이끌었던 송파구가 이번주엔 ‘반토막’ 수준인 0.67%로 둔화됐다. 서초구는 지난주 0.81%에서 이번주 0.78%로, 목동신시가지 아파트값이 들끓고 있는 양천구는 0.93%에서 0.89%로 상승폭이 다소 줄었다. 강남권에 이어 상승세가 가팔라져온 도심권의 마포구(0.43% → 0.39%)와 용산구(0.38% → 0.31%), 동작구(0.42% → 0.32%) 등의 아파트값 상승률도 한풀 꺾이며 진정 기미를 보였다.
이와 달리 같은 기간 강남구의 아파트값 상승률은 0.75%에서 0.93%로 더 올랐고, 강동구도 0.32%에서 0.76%로 상승세를 이어갔다. 인접한 다른 강남권과 대조적이다. 두 지역에선 이미 지어진 지 40년이 지났거나 임박해 재건축 연한 규제 강화의 영향권에 있지 않은 압구정동 등의 재건축 예정단지와 최근 학군 수요가 몰리는 일반 아파트값이 강세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이번주 조사에선 최근 집값이 단기간 급등한 데 따른 부담과 재건축 사업 불확실성 확대로 송파·양천·서초구의 매매가격 상승세가 둔화된 점이 특징이다. 한국감정원은 이번 아파트값 조사일이 22일로, 전날 정부의 재건축 부담금 발표 영향은 본격적으로 반영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지난 21일 강남 4구 내 15개 재건축 단지의 초과이익 예상 부담금이 평균 4억3900천만원, 최고 8억4천만원에 이른다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발표해 재건축시장에 충격을 준 바 있다.
부동산 업계에선 25일부터 재건축 아파트 장기보유자의 조합원 지위 양도가 허용돼 재건축 매매시장에 숨통이 트이는 점이 시장에 끼칠 영향을 주목하고 있다. 지난해 ‘8·2 부동산 대책’으로 투기과열지구 내 재건축 아파트는 조합원 지위 양도가 금지됐으나, 10년 이상 보유하고 5년 이상 거주한 1가구1주택자는 실수요자로 보호받는 차원에서 25일부터 조합원 지위 양도가 전면 허용된다. 김규정 엔에이치(NH)투자증권 부동산 연구위원은 “최근 강남 재건축 아파트값이 급등한 배경에는 집주인이 팔고 싶어도 팔 수 없는데 따른 매물품귀 현상도 자리잡고 있었다. 1가구1주택자라서 대상이 많지는 않겠지만 최근 정부의 압박으로 재건축 추진에 부담을 느낀 장기 소유자가 매물을 내놓는다면 가격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