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부동산

국토연 연구원 “그린벨트 등 ISD분쟁 가능성 커”

등록 2012-01-12 21:23수정 2012-01-13 11:29

김승종씨 국회 간담회서 발표
“보상 규정 등 대책 마련해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되면 부동산 정책이 투자자-국가 소송(ISD)에 휘말릴 수 있어, 토지규제 및 권리구제수단 제도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거듭 제기되고 있다(<한겨레>2011년11월8일치 6면). 그동안 정부는 “한-미 자유무역협정이 발효돼도 부동산 정책 권한은 그대로 유지된다”고 주장해왔다.

김승종 국토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지난 10일 국회입법조사처가 주최한 전문가 간담회에 참석해 ‘에프티에이(FTA)시대 토지규제의 대응과제: 간접수용과 투자자국가소송에 대비하여’라는 보고서를 발표하며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이나 도시계획시설부지를 새로 지정하는 경우, 투자자의 재산가치 감소에 따른 분쟁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지방자치단체장이 토지의 거래를 제한하는 토지거래허가제도는 국제관습법상 허용될 수 있는 규제인지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미 자유무역협정은 공중보건, 안전·환경 및 부동산 가격 안정화 정책과 같은 공공복리 목적의 규제는 간접 수용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돼 있다. 하지만 ‘그 목적이나 효과에 비춰 극히 심하거나 불균형적일 때와 같은 드문 상황’을 예외로 정해 투자자가 투자자-국가 소송제를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어뒀다. 김 연구원은 미국 판례와 분쟁사례를 분석해 개발제한구역을 새로 지정하는 조처 등을 ‘극히 드문 상황’으로 꼽았다. 실제로 토지 사용이 제한돼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데도 매수청구제도가 현실적인 권리구제수단으로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김 연구원은 “매수청구제도가 도입돼 23건의 신청이 있었지만, 청구요건이 엄격해 실제로 보상이 이뤄진 사례가 없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투자자-국가 소송제에 대비하는 방법은) 토지규제를 개선해 분쟁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그 규제를 유지하면서 합리적 보상규정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정은주 기자 eju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1.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2.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3.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4.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5.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