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과 서울의 ‘주택 구입 능력 지수’ 추이
주택구입능력지수 7년만에 균형점 밑으로
최근 2~3년 동안 집값이 올라가고 은행 이자도 상승하면서 서울에 사는 보통 사람들이 월급만으로 집을 사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출을 받아 집을 산 사람들은 상환 부담이 커지고 있다.
가계의 주택 구입 능력 또는 주택담보대출 상환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인 ‘주택 구입 능력 지수’(HAI)가 서울 지역에서 크게 하락하며 7년만에 100아래로 떨어졌다. 주택구입능력지수가 100 이하일 때는 가계의 주택 대출이 소득에 비해 과중함을 의미한다.
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주택 금융의 현황과 발전 방향’ 보고서를 보면, 서울 지역의 주택구입능력 지수는 2005년 말 114.4에서 2006년말 101.2로 떨어진데 이어 올해 3월 말에는 85.9까지 하락했다. 서울 지역의 주택구입능력 지수는 2000년(88.8) 이후 줄곧 100 이상에서 머물렀으나 올해 들어 100 밑으로 내려오기 시작했다.
주택구입능력 지수는 ‘평균 가구 소득/상환 요구 소득 X 100’(기준치 100)으로 산출한다. ‘상환 요구 소득’은 평균 주택 가격, 주택 가격 대비 대출금액 비율, 원리금 균등분할 상환 계수, 월 소득 대비 월 상환 가능금액 비율(25%로 설정) 등으로 구한다. 가구 소득은 근로소득 기준이다. 가구 소득이 일정할 경우 주택 가격이 올라가고 금리가 상승하고 대출 상환 기간이 짧을수록 주택구입능력 지수는 낮아지게 된다.
김인규 한은 금융산업팀 과장은 “이 지수가 낮아진다는 것은 아직 집을 못 산 사람은 앞으로 구입이 더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을, 이미 대출을 받아 집을 산 사람은 대출금 상환 부담이 커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김 과장은 “특히 이 지수 산출에서 가장 큰 변수는 금리”라며 “현재 주택대출의 93% 이상이 변동금리부 대출이기 때문에 앞으로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하면 서울 지역의 주택구입능력지수는 73.8%까지 내려가면서 가계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안선희 기자 sh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