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연립·다세대주택 지역 모습. 연합뉴스
서울 강서·마포·송파 등 9곳의 낙후 지역이 두번째 소규모주택정비관리지역 후보지로 선정됐다. 이들 지역은 실제 사업을 추진할 경우 공공으로부터 최대 150억원의 기반시설 설치비용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
18일 국토교통부는 2·4 대책으로 도입된 소규모주택정비관리지역 2차 후보지로 5개 시·도 9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서울에서 강서구 화곡동 등서초 주변(900호), 마포구 대흥동 염리초 북측(280호), 송파구 풍납동 토성초 북측(240호) 3곳이 선정됐고, 경기에서 광명시 광명7동 광명교회 서측(1120호)과 경기 성남시 태평2동 가천대역두산위브아파트 남측(1290호), 성남시 대평4동 봉국사 남측(1300호) 3곳이 선정됐다. 인천 서구 가정동 루원시티 북측(1110호), 울산 북구 염포동 현대제철 동측(1130호)과 전북 전주 진북동 고속버스터미널 남측(1090호)도 포함됐다. 전체 공급물량은 8460호 규모다.
소규모주택정비관리지역은 2·4 대책 당시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과 함께 도입된 공급모델이다. 기존에 소규모로 이뤄지던 가로주택정비사업, 자율주택정비사업 등과 유사하지만 정부에 의해 후보지로 선정된 곳에는 사업 추진 시 사업요건 및 건축규제가 대폭 완화된다.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이 구역 면적이 넓고 대단지 아파트가 들어서는 대규모 개발이라면, 소규모주택정비관리지역은 기존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면서 블록 단위로 개발해 개발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다. 대규모 개발에 견줘 신속한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이 강점이다.
국토부는 추후 관리지역으로 지정되는 곳에는 기반시설 및 공동이용시설 등을 설치하는 비용으로 최대 150억원의 국비를 지원할 계획이다. 국토부 도심주택공급협력과 관계자는 “재개발·재건축 사업과 같은 광역 개발이 어려운 지역은 관리지역으로 지정해 소규모 정비사업을 계획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말했다.
진명선 기자
tora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