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국내 300대 기업 임원(미등기)과 직원의 평균보수 격차는 4.7배로 나타났다. 지난해보다 차이가 조금 더 벌어졌다.
15일 헤드헌팅 전문업체 유니코써치가 발표한 ‘국내 주요 300대 기업의 최근 2년간 3분기 인건비 및 평균보수 변동 현황 분석’을 보면, 국내 주요 300대 기업이 올해 1~9월 임원 한 명에게 지급한 평균보수는 2억5800만원으로 부장급 이하 일반 직원(5400만원)보다 4.7배 많았다. 지난해 같은 기간 임원과 직원 간 보수 차이는 4.3배였다. 조사 대상은 15개 업종별 매출 상위 20곳씩 총 300개 상장사이다. 다만 보수에는 근로소득뿐만 아니라 상여·성과급도 포함돼 있다.
격차 확대는 일반 직원보다 임원의 보수 상승폭이 더 컸기 때문이다. 직원 평균보수는 5496만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만원(0.6%) 오른 반면, 임원 평균보수는 2억589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705만원(7%) 올랐다. 임원 보수 상승폭이 일반 직원에 견줘 11배 남짓 더 큰 셈이다.
임원 보수가 가장 많은 곳은 메리츠증권(8억4210만원)이었다. 이어 엔씨소프트(6억5020만원), 삼성전자(5억6990만원) 순이었다. 부장급 이하 직원 평균보수가 가장 많은 곳도 메리츠증권이었다. 이 회사의 직원 평균보수 1억1970만원으로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1억원을 넘겼다. 이어 삼성증권(9490만원), 엔에이치(NH)투자증권(9430만원) 순이었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