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가 세계적으로 장기화될 경우 국내에 진출한 외국투자기업(외투기업) 10곳 중 4곳은 국내 사업축소를 고려할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외투기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사태 영향 및 대응’에 대해 조사한 결과 조사에 응한 외투기업의 41.4%가 코로나19 장기화시 한국 내 생산·유통망 규모 축소를 고려하겠다고 답했다고 22일 밝혔다. 외투기업의 48%가 글로벌 생산·유통망 재편을 고려한다고 답했고, 이 중 86.1%가 한국 내 사업 축소를 고려한다고 답한 것이다. 한국 내 사업을 축소할 경우 그 규모는 평균 11.1%로 조사됐다. 이 조사는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가 외국인투자촉진법에 규정된 ‘외국인투자자가 출자한 기업’ 중 종사자 100인 이상 기업을 대상으로 지난 10~16일 진행됐다. 응답기업은 모두 150곳이다.
전경련은 조사 결과에 대해 “글로벌 기업들이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해외공장 셧다운과 이에 따른 글로벌 공급사슬 붕괴 위험성을 회피하기 위해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고려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며 “코로나19가 장기화될 경우 외투기업의 한국 투자에도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해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에 신고된 국내 외국인 직접투자 규모는 연 233억달러 수준이다. 실제 이번 조사에서 외투기업의 64.7%는 코로나19의 전세계 종료시점을 올해 하반기 이후로 전망해 한국 내 생산·유통망 재편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크다.
이외에 조사 기업의 89.3%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구체적인 영향으로는 ‘원부자재 조달 차질’(35.1%)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판매 애로’(28.4%), ‘생산 차질’(23.9%), ‘자금난 가중’(6.7%), ‘인사·노무관리 애로’(6.0%) 순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한 매출 감소를 전망한 기업도 74%에 이른다. 매출 감소 평균은 12.4%로 예상됐다. 업종별로는 도소매 및 유통업이 전년에 견줘 22.4%나 매출이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