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재 중시’ 경영으로 ‘글로벌 두산’의 기틀을 닦은 것으로 평가되는 박용곤 두산그룹 명예회장이 지난 3일 저녁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7살.
박 명예회장은 1932년 박두병 두산그룹 초대회장의 6남1녀 가운데 장남으로 태어났다. 경동고 졸업 뒤 1951년 해군으로 참전했다. 이후 미국 워싱턴대학교(경영학)를 졸업하고 1960년 산업은행 공채 6기를 거쳐 1963년 동양맥주에 입사했다. 말단 사원 박용곤의 첫 업무는 공장 청소와 맥주병 씻기였다고 한다.
1981년 회장에 오른 그는 과묵한 성품으로 유명했다. 생전 고인은 “말을 많이 하다 보면 쓸데없는 말을 하게 된다. 또 내 위치에서 무슨 말을 하면 모두 약속이 되고 만다. 그러니 말을 줄이고 지키지 못할 말은 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그는 ‘인화’도 강조했다. “인화로 뭉쳐 개개인의 능력을 집약할 때 자기실현의 발판이 마련되고 여기에서 기업 성장의 원동력이 나온다”는 것이 그의 신념이었다. 단 “인화란 공평이 전제되어야 하고 공평이란 획일적 대우가 아닌 능력과 업적에 따라 신상필벌이 행해지는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박 명예회장은 이런 경영철학을 바탕으로 국내 기업 처음으로 연봉제를 도입하고 대단위 팀제를 시행했다. 토요 격주휴무 제도를 시작한 것이 1996년이었고, 90년대에 직원들에게 유럽 배낭여행 기회를 주고 여름휴가와 별도로 ‘리프레시 휴가’를 만들기도 했다.
특히 그는 창업 100주년을 한 해 앞둔 1995년, 경영 위기 타개를 위해 주력업종이던 식음료 비중을 낮추면서 유사업종을 정리해 계열사를 33개에서 20개사로 재편했다. 간판사업이었던 오비맥주 매각 추진도 주도했다. 그는 두산창업투자·두산기술원·두산렌탈 등을 설립했고 2000년대 한국중공업·대우종합기계·밥캣(미국) 등을 인수하는 기반을 닦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고인은 국제상업회의소 한국위원회 의장과 한국경영자총협회 부회장 등을 지냈고 1984년과 1987년 은탑산업훈장과 금탑산업훈장을 수훈했다. 유족으로는 아들 정원(두산그룹 회장), 지원(두산중공업 회장), 딸 혜원(두산매거진 부회장) 씨 등 2남1녀가 있다. 빈소는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진다. 가족장으로 치러지고 발인과 영결식은 7일, 장지는 경기 광주시 탄벌동 선영이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