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카라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파나마 5개국과 무역개방
중미쪽은 자동차 등 관세 철폐…쌀·고추 등 농산물은 양허 제외
중미쪽은 자동차 등 관세 철폐…쌀·고추 등 농산물은 양허 제외
정부가 중미 5개국과의 한-중미 자유무역협정(FTA)에 가서명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10일(현지시각) 코스타리카에서 니카라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파나마 등 5개국 정부대표와 만나 한-중미 에프티에이에 가서명했다고 12일 밝혔다. 가서명은 협정문을 최종 확정하는 단계다. 가서명된 협정문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산업부는 “당사국들은 빠른 시일 내에 정식 서명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논의에 함께했던 과테말라는 협정발효 뒤 가입하겠다며 빠졌다.
당장 영향을 줄 수 있는 한국의 관세 즉시 철폐 품목은 약 7800여개로, 대부분 5개국에 공통적이며 일부 품목만 국가별로 다르다. 대표적인 철폐 품목은 커피 생두다. 커피 수입시장은 생두·원두·제조품 별로 구분되는데, 관세청 자료를 보면 2014년 커피 생두 수입시장에서 온두라스가 6527톤으로 5위(7.1)%, 코스타리카가 1008톤으로 8위(2.4%)를 기록했다. 한국은 열대과일 등 중미쪽 주요 수출품목들은 품목별로 3년~19년 기한별로 철폐하기로 했다. 쌀, 고추, 마늘, 양파 등 민감한 농산물은 양허대상에서 제외했다.
중미 5개국중 코스타리카와 파나마가 한국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에 대해 관세를 즉시 철폐하기로 했고 나머지 3개국은 기한을 두고 철폐하기로 했다. 나머지 한국 수출 품목들도 3년~19년 기한별 철폐될 예정이다. 지난해 한국과 5개국의 총교역액은 25억75백만 달러로 한국 총교역액 9016억19백만달러의 0.2%다.
산업부는 “한-중미 에프티에이는 중미 국가들이 아시아 국가와 체결한 최초의 에프티에이”라며 “성장 가능성이 높은 중미 국가 시장 선점을 통해 향후 경쟁국들에 비해 유리한 고지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고나무 기자 dokk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