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에 거주하는 홍연무·문희선씨 부부가 1979년 구입한 벽걸이 에어컨(GA-100SP)을 엘지(LG)전자에 기증했다. 엘지전자 제공
가정에서 사용하는 에어컨의 수명은 얼마나 될까? 1979년에 나온 국내 최초 벽걸이형 에어컨이 45년 동안 고장 없이 작동해 가전업계 관심이 집중됐다.
엘지전자는 경주에 사는 홍연무·문희선 부부가 1979년 봄에 구입해 사용하다 최근 회사에 기증한 벽걸이 에어컨(GA-100SP)을 3일 공개했다. 해당 모델은 에어컨 실외기와 바람이 나오는 본체를 분리한 국내 최초 벽걸이형 에어컨이었다.
부부는 “한여름 무더위에 공부하는 자녀들을 위해 벽걸이 에어컨을 구매했다. 45년 동안 고장 없이 작동한 에어컨의 사료적 가치가 높을 것 같아 기증했다”고 한다.
엘지전자는 당시 본체와 실외기를 분리해 만든 에어컨 모델은 혁신적이었다고 설명했다. 해당 모델이 출시되기 전까진 본체와 실외기가 함께 붙어있는 일체형 창문형 에어컨이 주로 출시됐는데 작동 시 소음과 성능 저하 문제가 지적됐다. 하지만 본체, 실외기 분리형 에어컨이 출시된 뒤 본체에서 나는 소음이 줄고 창문 틈을 통한 찬 공기 유출을 막을 수 있어 성능이 향상됐다는 평가가 나왔다.
금성사(현 LG전자)가 1968년 출시한 국내 최초 창문형 에어컨(GA-111). 창문형 에어컨은 실외기가 본체에 함께 붙어있어 소음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가전업계에선 텔레비전과 냉장고, 세탁기 등 제품의 평균 수명을 10년 안팎으로 본다. 다만 1년에 절반도 사용하지 않는 에어컨의 경우 관리를 잘할 경우 10년 이상을 거뜬히 사용할 수 있다. 밖에 설치된 실외기와 본체-실외기를 잇는 배수관 손상을 줄이기 위한 관리가 잘 되어있을 때 가정이다.
엘지전자는 기증받은 제품을 엘지인화원 등에 전시할 계획이다. 엘지전자에는 이 밖에도 1968년 출시된 국내 최초 창문형 에어컨(GA-111), 1983년 나온 국내 최초 스탠드 에어컨(GA-025) 등이 보존돼 있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