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지(LG) 구겐하임 어워드’ 첫 수상자 스테파니 딘킨스(가운데) 교수가 19일 미국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열린 시상식 뒤 트로피를 들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이날 시상식에는 윤태봉 엘지전자 북미지역대표 부사장(왼쪽), 나오미 벡위스 구겐하임 수석 큐레이터(오른쪽)가 참석했다. 엘지그룹 제공
인공지능(AI)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한 스테파니 딘킨스 스토니브룩 뉴욕주립대 교수가 ‘엘지(LG) 구겐하임 어워드’ 첫 수상자로 선정됐다. 엘지 구겐하임 어워드는 엘지그룹이 미국 구겐하임 현대미술관과 함께 기술을 바탕으로 혁신적으로 작업하는 예술가들을 발굴·지원하기 위해 제정한 상이다.
엘지그룹은 미국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제1회 엘지 구겐하임 어워드를 열고, 스테파니 딘킨스 교수에게 상금 10만달러(1억3천만원)와 트로피를 수여했다고 21일 밝혔다.
스테파니 딘킨스(오른쪽) 교수가 인공지능 로봇 ‘비나48’과 대화하는 모습을 촬영한 ‘비나48과의 대화’ 한 장면. 엘지그룹 제공
스테파니 딘킨스 교수는 인공지능과 가상현실(VR) 등을 작품에 활용해 기술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과 편견을 유발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그의 대표 영상작품 ‘비나48과의 대화’는 실존 여성 비나 로스블랫을 본따 만든 인공지능 로봇과 딘킨스 간 대화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학습 정보에 인종·성별·장애와 문화적 배경 등 다양성을 충분히 포함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았다.
딘킨스 교수는 수상 소감에서 “예술이 우리 사회에 영감과 자극을 줄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는 만큼 작품을 통해 소중한 가치를 담은 메시지를 전하겠다”고 말했다.
엘지그룹은 지난해 맺은 구겐하임 미술관과의 파트너쉽을 통해 2027년까지 5년 동안 다양한 형태의 기술과 예술의 융합 시도 사례를 발굴·지원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이밖에도 엘지와 구겐하임 뮤지엄의 협력을 의미하는 ‘곱하기(x)’, 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의미하는 ‘더하기(+)’를 활용한 영상광고를 제작해 뉴욕 타임스스퀘어와 런던 피카딜리 광장 등에서 상영할 계획이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