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산업·재계

삼성 vs 애플 스마트폰 ‘1위 대결’…1분기엔 갤럭시 웃었다

등록 2023-04-19 16:29수정 2023-04-20 02:46

카날리스 스마트폰 출하량 집계
삼성 22%, 애플 21%, 샤오미 11%
“상반기 갤럭시S23 출시 효과”
노태문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사업부장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3’ 행사에서 갤럭시 S23 시리즈를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노태문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사업부장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23’ 행사에서 갤럭시 S23 시리즈를 소개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와 미 애플이 세계 스마트폰 시장 1위를 놓고 엎치락 뒤치락 중인 가운데 올 1분기(1~3월)에는 삼성전자가 1위 자리를 거머쥐었다.

19일 시장조사업체 카날리스(canalys) 조사 결과를 보면, 삼성전자는 올해 1분기 출하량 기준 시장 점유율은 22%를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 전 분기 1위였던 애플의 점유율은 21%로 2위로 밀려났다. 지난해 4분기 기준 애플과 삼성전자 점유율은 각각 25%, 20%였다.

삼성전자가 1위를 되찾은 배경은 지난 2월 중순 출시된 갤럭시에스(S)23가 자리 잡고 있다. 갤럭시에스23 시리즈는 출시 50일 만에 국내 판매량 100만대를 돌파하는 등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유럽 주요 국가와 브라질, 인도 등에서도 전작인 에스22 시리즈와 비교해 1.5배 더 팔리는 성과를 냈다. 주로 하반기에 신작을 발표하는 애플 아이폰 시리즈 공백기에 갤럭시 신작 발표가 삼성전자 1위 탈환에 영향을 미친 셈이다.

다만 지난해 1분기 당시 삼성전자와 애플의 점유율 차이(6%포인트)보다는 올 1분기대 1%포인트로 크게 줄어들었다. 신작 발표 시기에 따른 점유율 변화라는 특성을 제외하고 볼 때 삼성전자와 애플의 지배력 격차가 더 좁아졌다는 뜻이다.

중국 제조사들도 내수 소비 확대에 힘입어 점유율을 지키고 있다. 샤오미의 올해 1분기 점유율은 11%였고, 오포 10%, 비보는 8%였다. 샤오미는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포인트 점유율이 하락했지만, 오포는 1%포인트 상승하면서 중국 제조사 합산 기준 점유율은 1년 전과 유사하다. 이외 제조사들의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28%로 지난해 1분기와 같았다.

1분기 스마트폰 시장 규모는 소비 침체 여파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2% 줄었다. 카날리스 집계 기준으로 다섯 분기 연속 감소세다. 카날리스는 “향후 5지(G) 대중화와 폴더블폰 성장이 스마트폰 시장의 새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1.

‘적자 수렁’에 갇힌 K배터리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2.

8년 만에 출시하는 ‘닌텐도 스위치2’…게이머들 벌써 ‘두근’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3.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4.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사법 리스크보다 경영 리스크…2심 무죄 이재용과 삼성전자 5.

사법 리스크보다 경영 리스크…2심 무죄 이재용과 삼성전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