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1일 경북 포항시 남구 제철동에 있는 포스코 포항제철소 2고로에서 한 직원이 용광로에서 쇳물을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포스코그룹이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밝혔지만, 최근 확정된 국가의 철강부문 탄소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에 구체적 전략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한국투자증권과 비영리 에너지·환경정책 싱크탱크 사단법인 넥스트그룹이 공동주최한 ‘2023 이에스지(ESG) 포럼’에서 허민호 사단법인 넥스트 수석연구위원은 ‘한국 철강산업의 탄소중립 전략과 로드맵’을 주제로 발표했다.
허 수석연구위원은 “포스코의 시기별 전략이 부족하다”라며 “2030년까지 기존 설비의 탄소 저감을 위한 연구개발 자금 2374억원을 투입하고, 2030~2040년 수소환원제철 데모플랜트(시범 생산시설)를 도입한 뒤 2040~2050년부터 단계적으로 기존 고로를 폐쇄하고 수소유동환원로로 대체하겠다는 정도의 성긴 계획만 있다”고 지적했다. 포스코그룹은 지난1월 2017~2019년 평균 탄소배출량 7880만톤과 비교해 2030년 10%, 2040년 50%를 감축하고 2050년에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허 수석연구위원은 210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로 제한하자는 ‘파리협정’ 목표 달성을 위해서 포스코그룹이 지금 계획보다 서둘러 탄소 감축 노력을 이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11일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제1차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안)에 따르면, 철강부문의 직접 배출량은 2018년 1억1200만톤에서 2050년 460만톤으로 전체 배출량의 95%를 감축해야 한다.
허 수석연구위원은 고로(쇳물 만드는 용광로)와 전로(쇳물을 강으로 전환하는 용광로)의 고철(철스크랩) 이용률을 20%까지 올려 철강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것을 제안했다. 보통 고철에는 불순물이 있어 부가가치가 높은 고급강을 생산할 때 제약이 따르지만 기존 15%의 고철 이용률을 20%로 높여도 제품 품질에는 이상이 없다고 설명했다. 윤지로 넥스트 커뮤니케이션 트랙 수석은 “품질 이상 없이도 그 정도의 비율 조절이 가능하고, 실제로 이미 비율을 올린 철강사들도 있다”고 덧붙였다.
또 수소환원제철 상업화 시기를 기존 2040년에서 2035년으로 앞당길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수소환원제철은 철광석을 철로 만드는 과정에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탄소 배출이 없기 때문에 철강업계 탄소중립을 위한 기술로 꼽힌다. 세계적 철강사들이 앞다퉈 이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산업통상자원부의 ‘저탄소 철강생산 전환을 위한 철강산업 발전전략’은 2030~2040년 300만톤급 데모플랜트를 설치하고 2040년 이후 2050년까지 3300만톤 양산 설비 구축을 목표로만 삼고 있다. 그러나 기후환경연구단체에서는 늦어도 2035년 300만톤의 생산 능력을 갖추도록 그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고 짚었다.
앞서 지난달 17일 포스코홀딩스 주주총회 날 ‘포스코 불개미 연대’는 탄소 감축을 서두르지 않으면 해외 기업의 수소환원제철 전환 속도보다 뒤쳐져 포스코의 미래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며 구체적인 탄소감축 계획을 밝히라는 내용을 포함한 공개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