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니스트 조성진(29)과 선양국(62) 한양대 석좌교수 등이 ‘2023 삼성호암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호암재단은 올해 삼성호암상 수상자를 선정해 5일 발표했다. 부문별로는 과학상 물리·수학부문에 임지순(72) 포스텍 석학교수, 과학상 화학·생명과학부문 최경신(54) 미 위스콘신대 교수, 공학상 선양국 한양대 석좌교수, 의학상 마샤 헤이기스(49) 미 하버드의대 교수, 예술상 조성진 피아니스트 등 5명이 선정됐다. 사회봉사상엔 사단법인 글로벌케어 단체 1곳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수상자별 이력을 보면, 과학상 물리·수학 부문 수상자인 임지순 교수는 고체물질 형성에 필요한 총에너지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는 혁신적 방법을 고안해 ‘계산재료 물리학’ 분야를 새롭게 개척한 세계적 이론물리학자로 평가받는다. 과학상 화학·생명과학 부문 수상자인 최경신 교수는 에너지 과학 분야의 세계적 리더로, 광전극 물질과 촉매 연구를 통해 친환경 수소 생산의 획기적 발전을 이끈 공로를 인정받았다.
공학상을 받는 선양국 교수는 리튬이온 전지 양극재 연구를 통해 전지의 안정성과 수명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의학상 수상자 마샤 헤이기스 교수는 암세포가 암모니아를 영양분으로 재활용함으로써 증식을 가속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밝혀내 암 치료법 개발의 새 지평을 열었다.
예술상을 받는 피아니스트 조성진은 역대 최연소 호암상 수상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그는 2015년 한국인 최초의 쇼팽 국제 피아노 콩쿠르 우승 이후 세계 정상급 연주단체와의 지속적인 협연과 최고의 독주 무대를 펼쳐온 현대 국제 클래식 음악계의 젊은 거장으로 평가받는다.
사회봉사상을 받게 될 글로벌케어는 1997년 설립된 국내 최초의 국제보건의료 비정부기구(NGO)다. 지난 26년간 우크라이나 전쟁 피해 현장을 비롯해 18개국의 각종 재난 현장에 긴급 의료팀을 파견하는 등 전염병 퇴치와 빈민 진료에 앞장섰다.
이번 수상엔 최경신 교수와 마샤 헤이기스 교수 등 여성 과학자 2명이 명단에 포함된 게 눈에 띈다. 올해 수상자는 국내·외 저명 학자와 전문가 46명이 참여한 심사위원회, 45명의 외국인 석학으로 구성된 자문위원회가 4개월 간 심사를 거쳐 선정했다. 호암재단은 코로나19 확산 이후인 2021년부터 과학 분야의 연구 지원 확대를 위해 기존 1명에게 수여하던 과학상을 물리·수학부문과 화학·생명과학부문으로 나눠 수상자를 선정하고 있다.
부문별 수상자에게는 상장과 메달, 상금 3억원이 수여되며 시상식은 6월1일 열린다. 1991년부터 시작된 호암상 수상자는 올해까지 170명이고, 수상자에겐 총 325억원의 상금이 수여됐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