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의 경제정책이 ‘에프(F)학점’이라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정부의 기업정책은 대기업 중심이고, 세금정책은 부자에게 유리하다는 응답은 3분의2 이상이었다.
경제개혁연구소는 13일 ‘정부 경제정책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를 진행한 결과, 현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해 ‘에프학점’이라는 응답이 46.8%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이는 경제개혁연구소가 2009년 7월부터 분기마다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직전인 2017년1월(57.6%) 조사에 이어 두번째로 높다. 또 ‘디(D)학점’(12.3%)이라고 응답한 결과까지 합치면 부정적 평가가 절반 이상인 59.1%에 달했다. ‘에이(A)학점’(14.5%)과 ‘비(B)학점’(14.2%) 등 긍정적 평가(28.7%)와 비해 두배에 달했다. 이번 조사는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 1024명을 대상으로 지난 8∼10일에 이뤄졌다.
연령별로는 40대가 67.3%(디·에프학점)로 가장 부정적이었고, 18∼20대(66.0%), 50대(65.8%), 30대(57.2%), 60대 이상(47.1%) 등의 순이었다. 성별로는 남성(63.3%)이 여성(55.0%)보다 더 부정적이었다. 경제적 계층별로는 스스로 중하층이라고 응답한 계층(65.1%)에서 부정적 응답이 가장 많았다.
아울러 정부의 기업정책에 대해서는 ‘대기업 중심’이라는 응답이 75.8%에 달했다. 세금정책에 대해선 ‘매우 부유층에 유리’(48.4%), ‘다소 부유층에 유리’(23.0%) 등 부유층에 유리하다는 응답이 71.4%였다. 반면 ‘서민층에 유리’하다는 응답률은 20.8%였다. 지난 7월 조사와 비교하면 각각 5.7%포인트, 4.4%포인트 늘었다. 윤석열 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한 평가가 더욱 나빠졌음을 시사했다.
이승희 경제개혁연구소 연구위원은 “최근 윤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떨어지는 것도 영향을 미쳤겠지만, 정부가 추진하는 규제 완화와 법인세, 종합부동산세 등을 낮추려는 움직임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