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영광군 백수읍 영광풍력 발전단지에 세워져 있는 풍력발전기들. 연합뉴스
전기차 배터리 제조업체 ㄱ사는 미국·유럽 완성차 업체로부터 배터리 제조과정에서 재생에너지 100% 사용을 납품 수주의 기본 조건으로 요구받고 있다. 또 배터리 제품의 탄소발자국 분석을 통해 일정 탄소배출량 이하 수준을 요구하고 있는데, 이를 맞추려면 ㄱ사는 물론 협력사들까지 재생에너지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다.
다국적 기업에 기저귀 등 위생용품 소재를 납품하는 ㄴ사는 최근 재생에너지로 제품을 생산하면 탄소가 얼마나 감축되는지 제출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아직 재생에너지 사용 수준에 대한 구체적인 요청은 없지만, 곧 요구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국내 제조 대기업 10곳 가운데 3곳 꼴로 국외 고객사로부터 제품 생산 때 재생에너지를 사용해줄 것을 요구받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제조 기업 300곳(대기업 80곳, 중견기업 220곳)을 대상으로 ‘아르이100’(RE100) 관련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14.7%가 국외 고객사로부터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받았다’고 답했다고 28일 밝혔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이 28.8%, 중견기업은 9.5%로 나타났다. 요구받은 재생에너지 사용 시점은 ‘2030년 이후’가 38.1%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2025년까지’(33.3%), ‘2026∼2030년’(9.5%) 순이었다.
아르이100은 2050년까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목표의 민간 캠페인이다. 올 8월을 기준으로 애플·구글·베엠베(BMW) 등 379개 글로벌 기업들이 참여했고, 국내에서는 에스케이(SK) 계열 7개사와 현대자동차·엘지(LG)에너지솔루션 등 22개사가 가입했다. 삼성전자는 “검토 중”이다. 캠페인에 구속력은 없지만, 참여를 선언한 글로벌 기업들이 국내 협력사들에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구하며 국내 기업들도 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노력에 나서고 있다.
국내 한 제조업체 관계자는 “국외 고객사들로부터 재생에너지 사용을 요청받았더라도 이를 공식적으로 밝히기를 꺼리는 기업들도 상당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는 아르이100에 제대로 대응하지 않으면 수출 경쟁력에 큰 차질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아르이100 참여 애로사항으로 ‘비용 부담’(35.0%)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관련 제도 및 인프라 미흡’(23.7%), ‘정보 부족’(23.1%), ‘전문인력 부족’(17.4%) 등을 들었다. 한 중견 기업 관계자는 “아르이100을 이행하려면, 직접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구축하거나, 녹색 프리미엄 제도를 통해 웃돈을 주고 재생에너지 전력을 구매하거나,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구매해야 한한다”며 “한국에선 세 가지 조달 방식에 드는 비용이 각각 유럽의 1.5~2배 수준”이라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기업들이 비용 부담을 호소하는 것은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량 부족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에너지공단이 실시한 ‘신재생에너지 보급실적 조사’ 결과를 보면,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7.4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약 30%)에 한참 못미친다.
기업들은 아르이100 참여 촉진을 위한 정부의 정책과제로 ‘경제적 인센티브 확대’(25.1%), ‘재생에너지 구매의 온실가스 감축 실적 인정’(23.2%), ‘재생에너지 전력인프라 확대’(19.8%) 등을 희망했다. 김녹영 대한상의 탄소중립센터장은 “글로벌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가 국내 고객사를 거쳐 해당 국내 기업의 중소·중견 협력사까지 이어질 수 있다”며 “대기업 뿐만 아니라 중소·중견기업들도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 증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