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지(LG)디스플레이 모델들이 자사 오엘이디 티브이(TV)용 패널을 소개하는 모습. 엘지디스플레이 제공
엘지(LG)디스플레이가 2분기에 영업손실 4883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했다.
엘지디스플레이는 2분기에 연결 기준으로 5조6073억원의 매출을 올려 4883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고 27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매출은 19% 줄었고, 영업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엘지디스플레이의 분기 적자는 2020년 2분기(-5170억원) 이후 처음이다. 매출 기준 제품별 판매 비중은 티브이(TV)용 패널 31%, 정보통신(IT)용 패널(모니터·노트북·태블릿 등) 45%, 모바일용 패널 및 기타 제품 24%였다.
엘지디스플레이 관계자는 “중국 코로나 봉쇄 장기화 영향과 경기 변동성 및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전방산업의 수요 위축으로 계획 대비 출하량이 감소했다”며 “중국 코로나 봉쇄로 글로벌 아이티 기업들의 완제품 생산과 협력업체들의 부품 공급이 차질을 빚어 패널 출하가 감소했고, 세트업체들이 재고 최소화를 위해 구매 축소에 나선 것과 엘시디(LCD) 패널 가격 하락이 지속된 것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하반기 전망은 더 안 좋은 상황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2분기 티브이 전세계 출하량은 4517만대로 전년 대비 6.8% 떨어졌다. 분기 기준 4600만대 이하를 기록한 것은 처음이다. 인플레이션에 따른 수요 위축으로 북미와 유럽 시장 수요가 줄어든 영향이 컸다. 인플레이션 상황이 하반기에도 계속되는데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원가 상승도 계속돼 하반기 실적 전망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김영우 에스케이(SK)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코로나19에 따른 비대면 수요가 많이 늘어난 효과가 끝나고 맞이할 수밖에 없는 정상화 과정”이라며 “하반기에도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엘지디스플레이 김성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글로벌 경제와 사업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이지만 사업구조 고도화, 운영 효율화, 재고 관리, 투자 효율화 강화 활동을 통해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고 리스크를 적극적으로 통제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