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제이주식회사(CJ더센터) 전경. 씨제이그룹 제공
에스케이(SK)·엘지(LG)·지에스(GS)·포스코·현대중공업·신세계 등 주요 그룹들이 향후 5년 기한의 국내외 투자·고용 계획을 일제히 내놓은 가운데, 씨제이(CJ)그룹 역시 콘텐츠와 식품 등 미래 사업 분야 투자 계획을 밝혔다.
씨제이그룹은 30일 “콘텐츠와 식품 등 미래 라이프스타일을 선도할 사업 분야에 향후 5년간 20조원을 투자하고, 2만5천명 이상을 신규 채용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11월 그룹 중기비전에서 밝힌 컬처·플랫폼·웰니스·서스테이너빌러티 등 4대 성장엔진과 함께 투자와 고용도 이 분야에 집중한다는 설명이다.
우선 씨제이는 이번 칸 영화제에서 자사가 투자·배급한 영화 두 편이 각각 감독상(<헤어질 결심>)과 남우주연상(<브로커>)을 수상하며 <기생충>에 이어 다시 한 번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만큼, 콘텐츠 분야를 비롯해 케이(K)푸드 중심의 식문화 확산 등 컬처 분야에 12조를 투자한다. 세계 시장을 겨냥한 ‘웰메이드 콘텐츠’ 제작과 미래형 식품개발·생산시설 확보 등이 포함된다.
물류·커머스 등 플랫폼 분야에도 총 7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국내 1위 물류기업인 씨제이대한통운은 이커머스 최적화와 인프라·시스템 강화 등 물류 운영 경쟁력 확보에, 케이 뷰티 플랫폼 올리브영은 아이티 기술을 적용한 마케팅·서비스 고도화와 글로벌 매출 비중 확대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이 밖에도 바닷물에서 자연 분해되는 친환경 생분해 플라스틱 소재 제품의 생산시설 확대 등 미래형 신소재 투자와 바이오 의약품 위탁개발생산시설, 천연 프리미엄 소재 고도화에 등에 1조원을 투입한다. 씨제이는 이러한 미래 라이프스타일 분야 투자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경우, 2026년까지 매년 5천명 이상을 신규 채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씨제이 관계자는 “향후 5년 동안 최소 2만5천명에서 3만명의 일자리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유선희 기자
duc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