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가운데)과 회사 관계자들이 23일 아르헨티나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 염수 리튬공장 1단계 착공식에 참석해 시삽을 진행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 제공
포스코홀딩스가 매장량이 280만톤(t)에 달하는 아르헨티나 염호 리튬 상용화를 위한 공장을 착공했다. 2024년 상반기에 준공되며, 매년 2만5천톤 규모의 리튬을 생산하게 된다.
포스코홀딩스는 23일(현지시각) 아르헨티나 살타주 고지대(해발 4천m)에 위치한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소금호수) 기반의 염수 리튬 공장 착공식을 진행했다. 현장에는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유병옥 포스코홀딩스 친환경미래소재팀장, 김광복 포스코아르헨티나 법인장, 구스타포 사엔즈(Gustavo Saenz) 살타주 주지사, 라울 하릴(Raul Jalil) 카타마르카주 주지사 등이 참석했다.
이날 착공한 염수 리튬공장은 매년 수산화리튬 2만5천톤을 생산할 수 있는 규모다. 2024년 상반기 준공이 목표다. 총투자비는 인프라와 운전자금 등을 포함해 약 8억3천만달러(약 9500억원) 수준이다. 리튬 공장의 건설·운영·자금조달 등은 포스코홀딩스의 100% 자회사인 포스코아르헨티나가 수행한다. 회사는 올해 추가 투자를 통해 2024년말부터 양산 규모를 5만톤까지 늘릴 계획이다. 2028년까지는 연간 최대 10만톤 규모로 생산량을 더 확장할 예정이다. 수산화리튬 10만톤은 전기차 약 240만대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포스코그룹은 2018년 아르헨티나 염호를 인수했다. 채굴가능성과 수율을 고려하면 최소 280만톤 규모의 리튬을 생산할 수 있다. 염호의 평균 리튬 농도는 921㎎/L로, 아르헨티나 염호 중 리튬 함유량이 최고 수준이다. 마그네슘 등 불순물 농도는 상대적으로 낮아 세계 최고의 생산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는다. 포스코홀딩스는 “최근 리튬 가격이 급등해 인수시점 대비 5배가 됐다. 리튬 광산 업계의 통상 영업이익률이 50% 수준임을 감안하면 수십조원의 누적 영업이익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최정우 회장은 착공식에서 “포스코그룹이 지난 수년간 준비해 온 리튬 사업이 오늘로써 그 위대한 첫걸음을 내딛는 순간이다. 이번 염수 리튬 프로젝트는 포스코그룹 이차전지소재 사업의 근간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안태호 기자
ec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