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회관. 대한상의 제공
지방소멸에 대한 위기의식은 기업 현장에서도 높게 형성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수도권 이외 지역 소재 기업 513개를 대상으로 ‘지역경제 상황에 대한 인식’ 조사를 벌여 27일 내놓은 결과를 보면, 응답 기업의 68.4%가 ‘지방 소멸에 대한 위협을 느낀다’고 답했다. ‘못 느낀다’는 답은 31.6%였다.
지방 소재 기업이 지방소멸 위협을 느끼는 것은 급격한 인구 감소세와 함께 지역 간 불균형 심화에 따른 불안감에서 비롯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불균형에 대해 ‘최근 더욱 확대되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57.9%로 나타나 지역 격차에 대한 위기감을 드러냈다. ‘감소했다’는 응답은 13.3%, ‘변화 없다’ 27.7%, 무응답 1.1%였다. 대한상의는 “역대 정부가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지만 지방 기업들이 느끼는 불균형은 심화되고 있다”며 “이로 인한 지방 기업의 불안감과 실질적 피해도 커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됐다.
지방 소재 기업으로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조사 대상의 50.5%가 ‘인력 확보’를 꼽았다. 저출산·고령화로 생산가능 인구가 감소하는 터에 청년층은 수도권으로 대거 이동하면서 기업 현장의 구인난이 심해진 현실을 반영한다. 그밖의 애로 사항으로는 ‘판로 개척’(14.0%), ‘자금 조달’(10.9%), ‘기술 개발’(7.2%), ‘사업 기회’(7.0%), ‘물류 인프라’(5.1%) 등이 꼽혔다.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과제로는 ‘지역별 특화산업 육성’(55.0%)이 최우선으로 꼽혔다. 이어 ‘대폭적인 조세 감면’(38.4%), ‘지역 인재 육성’(38.2%), ‘지역 연구개발(R&D) 지원 확대’(34.1%), ‘수도권 규제 강화’(14.4%), ‘초광역경제권 구축 지원’(12.3%) 순이었다.
전인식 대한상의 산업정책실장은 “우리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지역 불균형 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며 “조만간 새 정부가 들어서는 만큼 중앙정부와 지자체, 기업이 협력해 실질적인 해법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한상의는 지역별 경제 현안을 점검하고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지역경제포럼’을 전국 6개 권역에서 잇달아 개최할 예정이다. 첫 회의는 다음 달 4일 부산에서 열린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