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엘지(LG) AI연구원장이 14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엘지 AI 토크 콘서트’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엘지그룹 제공
엘지(LG)가 초거대 인공지능(AI)인 엑사원(EXAONE)을 공개하고, 초거대 AI 생태계 확장에 나섰다.
엘지 AI연구원은 14일 설립 1주년을 맞아 온라인으로 진행한 ‘엘지 AI 토크 콘서트’에서 엑사원을 선보였다. 엑사원은 ‘인간을 위한 전문가 AI’(EXpert Ai for everyONE)를 줄인 말이다.
지난 5월부터 연구가 시작된 엑사원은 약 3천억개의 파라미터(딥러닝을 통해 학습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곳)를 보유했으며, 말뭉치 6천억개와 고해상도 이미지 2억5천만장 이상을 학습했다. 이론상 파라미터가 많을수록 AI는 더 정교한 학습을 할 수 있는데, 국내에서 개발 중인 인공지능 가운데 최고 수준이다. 언어는 물론, 이미지와 영상 등 인간의 의사소통과 관련된 여러 정보를 습득하고 다룰 수 있는 멀티 모달리티(Multi-Modality) 능력을 갖춘 셈이다.
이 기술이 고도화되면 AI가 단순히 데이터를 습득하고 이해하는 수준을 넘어 추론과 시각·청각을 활용한 창조적 생성도 할 수 있다고 회사 쪽은 설명했다. 한 예로, 기존 AI는 텍스트를 분석해 이미지를 찾는 수준이었다. 이와 달리 엑사원은 “호박 모양의 모자를 만들어 줘”라는 명령어에 학습된 정보를 기반으로 호박 모양의 모자 이미지를 새롭게 만들어 낸다.
엘지 AI연구원은 “미국의 오픈AI가 개발한 초거대 AI ‘GPT-3’와 국내에서 개발 중인 다른 초거대 AI들이 각각 영어와 한국어만 하는 것과 달리 엑사원은 영어와 한국어를 모두 이해하고 구사하는 이중 언어 AI라는 점이 차별화 포인트다”라고 설명했다.
초거대 인공지능(AI)인 엑사원(EXAONE)이 학습된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한 호박 모양의 모자 이미지. 엘지그룹 제공
연구원은 엑사원이 앞으로 제조, 연구, 교육, 금융 등의 분야에서 ‘상위 1% 수준의 전문가 AI’가 될 수 있도록 만든다는 계획이다. 우선, 전 계열사에 엑사원을 사용할 수 있는 오픈 API를 공개했다. 현재 엘지 계열사에선 엑사원이 고객과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고도화된 챗봇과 약 2000만건의 화학 분야 문헌을 학습해 신소재·물질을 발굴하는 업무에 적용되고 있다고 회사 쪽은 밝혔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 지난해 12월 출범 이후 1년간 연구원의 성과도 공개됐다. 연구 분야에선 ‘최적 경로 강화 학습’, ‘작곡 하는 AI’ 등 18건의 논문이 AAAI, CVPR 등 세계 최고 권위의 인공지능 학회에서 채택됐다. 또한 연구원은 향후 글로벌 파트너사와의 협력 때 가장 중요한 데이터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엑사원-튜닝’이라는 자체 알고리즘도 개발했다. 사업 분야에서도 ‘맞춤형 항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신항원 예측 모델 개발’ 같은 18건의 난제를 해결하는데 엑사원이 적용됐다.
배경훈 엘지 AI연구원장은 “어려운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이 도전하고, 우수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꼭 필요한 전문가 AI를 만드는 연구원이 되고자 한다”며 “캐나다 토론토대, 미국 미시건대, 서울대, 카이스트 등 국내외 주요 대학 및 석학들과 연구개발 연계 체계를 더욱 강화하고, 향후 API 공개 및 외부 파트너십을 통해 집단 지성으로 글로벌 초거대 AI 생태계를 만드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선담은 기자
su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