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IT

700만명 넘어선 알뜰폰, 더 날까 주저앉을까

등록 2017-04-18 17:04수정 2017-04-18 19:12

3월말 기준 가입자 701만7천명
“가계 통신비 부담 경감에 큰 기여”
증가세 둔화, 사업 적자는 문제
전파사용료, 도매대가 등 정부 지원이 변수
알뜰폰 가입자가 지난 3월말 기준으로 700만명을 넘어섰다. 사진은 우체국 알뜰폰 접수창구에서 시민들이 요금제 안내문을 읽고 있는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알뜰폰 가입자가 지난 3월말 기준으로 700만명을 넘어섰다. 사진은 우체국 알뜰폰 접수창구에서 시민들이 요금제 안내문을 읽고 있는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알뜰폰 가입자수가 서비스 도입 5년9개월 만에 700만명을 넘어섰다. 통신요금 부담을 줄이려는 ‘알뜰한’ 소비자들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가입자 증가세가 주춤하고 사업자들의 수익구조도 여전히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어 전망이 밝은 것만은 아니다. 다음달 출범할 새 정부가 어느 정도 정책적 지원을 해주느냐에 따라 향후 성장세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18일 “지난 3월말 기준으로 알뜰폰 가입자수가 701만7천명으로 집계됐다”며 “통신비 부담 경감에 크게 기여했다”고 밝혔다. 점유율로 보면 전체 이동통신 시장의 11.4% 수준이다. 알뜰폰 서비스(MVNO)는 기존 이동통신사들의 통신망을 도매로 빌려 보다 저렴한 요금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로, 2011년 7월 시작됐다. 2011년말 57만명이었던 가입자는 2012년말 127만명, 2013년말 248만명, 2014년말 458만명, 2015년말 592만명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미래부는 “우리나라와 통신시장 상황이 비슷했던 프랑스가 7년 만에 700만명을 넘어선 것과 비교해 볼 때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알뜰폰 사업자들은 현재 노년층에 집중돼 있는 가입자층을 다양화하기 위해 단말기와 요금제를 다양화하고 파손 보험 등 부가서비스도 확대하는 등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헬로모바일은 최근 갤럭시S8의 공시지원금을 6만원대 요금제부터 법률상한선인 33만원으로 책정하기도 했다.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알뜰폰이 더 성장하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2015년 이후부터는 가입자수 증가폭이 둔화되고 있다. 기존 이통사들이 선택약정할인(요금 20% 할인제도)을 도입하면서 알뜰폰 요금과 격차가 줄어든데다, 홍보 미흡으로 ‘품질이 떨어질 것’이라는 소비자들의 막연한 선입견도 여전히 존재하는 탓이다.

중고가인 엘티이(LTE)요금제 비중이 24%에 그치면서 1인당 매출액도 이통사의 절반 수준인 1만5000원대(후불폰 기준)에 머물고 있다. 사업비용이 매출을 초과해 전체 알뜰폰 사업자의 영업이익은 지난해말 317억 적자를 기록하며 여전히 손익분기점을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향후 알뜰폰 사업에 큰 영향을 미칠 변수가 두가지 있다. 현재 알뜰폰은 전파사용료(1인당 461원)를 면제받고 있는데, 이 혜택이 오는 9월 만료된다. 또하나는 통신망을 사용하기 위해 이통사에게 지불하는 ‘도매 대가’(매출 대비 3G는 27.7%, LTE는 50%)가 어떻게 조정되는지다. 도매 대가는 미래부와 의무제공사업자인 에스케이텔레콤간의 협상에 의해 결정된다. 알뜰통신사업자협회 관계자는 “알뜰폰을 더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중요하다”며 “전파사용료 면제를 연장하거나 알뜰폰에 맞는 낮은 사용료가 도입돼야 하고, 도매 대가도 획기적으로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알뜰폰업계는 최근 “현재 별정통신사업자로 분류돼 있는 알뜰폰 사업의 법적 지위를 분명하게 하는 ‘알뜰폰 지원 특별법’(가칭)을 만들어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결국 새 정부가 알뜰폰 시장 육성에 어느 정도 의지가 있는지가 관건인 셈이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통신비 공약으로 이통사들의 기본료 면제를 중심에 내세웠고 알뜰폰에 관해서는 별도 공약을 내지 않았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전파사용료 면제 연장 등 알뜰폰 활성화를 공약 중 하나로 밝혔다.

안선희 기자 shan@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관세 송곳니 트럼프에 “설마가 현실로”…반도체·철강도 사정권 1.

관세 송곳니 트럼프에 “설마가 현실로”…반도체·철강도 사정권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2.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3.

국내 항공사 항공기 416대 ‘역대 최다’…올해 54대 추가 도입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4.

공정위 칼 빼든 ‘쿠팡 끼워팔기’…위법인가, 마케팅 수단인가

‘딥시크·트럼프발 악재’ 여파 환율 급등…‘1500 방어선’ 지켜낼까 5.

‘딥시크·트럼프발 악재’ 여파 환율 급등…‘1500 방어선’ 지켜낼까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