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경제 IT

미국 최대 커뮤니티 ‘레딧’의 고심끝 격리, ‘일베’는?

등록 2015-08-10 20:56수정 2015-08-31 23:40

최근 미국 최대 인터넷 커뮤니티 ‘레딧’이 백인우월주의소그룹을 폐쇄한 일은 국내 극우성향 커뮤니티 ‘일베’에 시사하는 바도 크다. 인터넷 표현의 자유에도 일정한 한계와 절제가 필요하다는 점을 배울 수 있다. 사진은 가면을 쓰고 ‘일베’를 상징하는 손 모양을 한 남자들을 통해 일베 커뮤니티를 나타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최근 미국 최대 인터넷 커뮤니티 ‘레딧’이 백인우월주의소그룹을 폐쇄한 일은 국내 극우성향 커뮤니티 ‘일베’에 시사하는 바도 크다. 인터넷 표현의 자유에도 일정한 한계와 절제가 필요하다는 점을 배울 수 있다. 사진은 가면을 쓰고 ‘일베’를 상징하는 손 모양을 한 남자들을 통해 일베 커뮤니티를 나타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레딧
레딧

‘레딧’(reddit.com·마스코트)은 미국 최대 커뮤니티 사이트다. 자체 집계로 월 방문자가 1억6400만명이 넘는다. 이 사이트에는 온갖 농담과 정보와 의견이 어지럽게 뒤섞여 있다. 각 분야는 서브레딧(레딧 안의 소그룹)으로 나뉘어 있는데, 주제는 상상을 넘어선다. 뉴스·역사·예술과 같은 전통의 카테고리에서부터, 미국 드라마 ‘워킹 데드’ 게시판이나, 너구리 애호가 게시판, 심지어 ‘나의 대학 선생님이 춤추는 영상을 올렸는데, 상당히 멋지다’와 같은 지극히 좁은 주제까지 온갖 잡다한 이야기들이 순식간에 생기고 날뛰듯 넘쳐난다.

2006년 탄생한 레딧은 최근 지난 9년 동안 유지해온 정체성과 어긋나는 특단의 정책을 단행했다. 일부 서브레딧을 폐쇄한 것이다. 대상은 백인우월주의를 강하게 표방해온 5개 서브레딧이었다. 한 곳의 이름만 봐도 성격이 적나라하게 드러난다. 워치니거다이(WatchNiggersDie: 흑인이 죽는 것을 봐라). 해당 서브레딧들에는 인종적 약자들에 대한 증오 발언과 외설적으로 욕을 보이는 사진들이 넘쳐났다.

이런 증오 발언을 아낌없이 표출하는 커뮤니티의 국내 대표로는 ‘일베’(일간베스트 저장소·www.ilbe.com)가 꼽힌다. 일베의 표적은 주로 여성, 전라도 출신, 진보세력 등이다. 여성은 ‘약한 척 남성을 등쳐먹는 존재’들이고, 전라도 출신은 ‘종북좌익 빨갱이’이며, 진보 역시 ‘나라 잘되는 꼴을 못 보는 종북좌빨’과 동의어라는 게 커뮤니티를 지배하는 인식이다. 이용자들은 대체로 남성중심주의적 보수 극우 성향을 띠지만 한 색깔로 단정 짓긴 어렵다. ‘어느 쪽이든 다 구린 면이 있으며 나라고 뭐 다르겠느냐’는 식의 자해적 성격도 띠기 때문이다. 일베는 국내 최대 인터넷 커뮤니티인 디시인사이드(www.dcinside.com)로부터 2011년 말께 떨어져 나와 만들어졌다. 당시 디시인사이드에서 많은 인기표를 받은 ‘베스트’ 게시물 가운데 외설 등의 이유로 삭제되는 것들이 있었는데 이를 저장하는 창고 역할로 분리돼 나왔다가 오늘에 이른 것이다. 닐슨 코리안클릭 기준 지난달 일베의 모바일 페이지뷰는 2억6000만건을 넘어 디시인사이드에 이어 2위를 기록했다.

검열 없이 자유로운 인터넷 특성 살린
인기 커뮤니티 사이트에 ‘독버섯’ 공존
이용자들 반감커지자, 사이트 정책 변경
백인우월주의 소그룹 폐쇄나 격리
국내 유사 사이트 ‘일베’에도 시사점

일베와 레딧의 커뮤니티 구조는 묘하게 닮았다. 추천 시스템 기반이다. 일베나 레딧의 게시물들은 이용자들의 추천을 받을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의 추천을 받은 ‘베스트’ 게시물은 사람들이 많이 보는 커뮤니티의 좋은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양쪽 모두 익명성 보장을 중시한다. 레딧은 가입 시 아무런 개인정보도 요구하지 않는다. 아이디와 패스워드만 입력하면 된다. 일베에서 개인에 대한 정보를 추적하거나 드러내는 건 금기시되는 일이다. 무엇보다 두 사이트가 강하게 중시하는 특성은 자율성이다. 자신의 관심사에 대해 누구의 검열이나 통제도 받지 않고 마음껏 떠들 수 있는 권한이다. 물론 이들 특징은 인터넷이 지닌 보편적 특성으로 꼽히기도 하는 점들이다. 두 커뮤니티는 이를 잘 흡수하고 기능으로 구현하고 있을 뿐이다.

이런 특성은 선과 함께 악을 잉태했다. 레딧에는 여러 유쾌한 서브레딧들이 다수다. 익명의 사람들이 털어놓은 사연에 아낌없는 충고를 하거나, 같은 관심사를 가진 이에게 대가 없이 중요 정보들을 공유하는 이들도 많다. 하지만 동시에 아동 음란물이나 끔찍하게 숨진 여성의 사진 따위를 올리면서 어두운 쾌락을 탐닉하는 이들도 있다. 일베는 커뮤니티 전반적인 성격이 이런 식이지만 역시 인터넷 자율성의 더러운 골목길이라는 점에서 같다.

자율성이 가진 이런 양면성 탓에 레딧에 변화의 메스를 가져다 대는 것은 고통스런 과정이었다. 지난달 레딧의 최고경영자 엘런 파오가 사임했다. 그는 직접적인 이유로 이사회에서 요구하는 실적을 내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했지만 앞서 일련의 과정은 레딧 이용자들의 자율성을 둘러싼 갈등이 중요한 이유였음을 알게 한다. 파오는 퇴임을 앞두고 레딧에 올린 글에서 “나는 레딧에서 좋은 것과 나쁜 것, 추한 것을 봤다. 흔치 않은 영감을 받았지만, 추한 것들로 인해 인간성에 대한 의구심이 들기 시작하기도 했다”고 적었다. 그는 앞서 이용자의 자율성을 중시했던 서브레딧 관리자를 해고했으며, 이는 수많은 레딧 이용자들의 공분을 샀고 광범위한 퇴진운동이 벌어진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파오의 후임이자 레딧 공동창업자인 스티브 허프먼도 서브레딧이 누리는 표현의 자유에도 이제는 적절한 제한이 필요하다는 의지를 계속 관철했다. 그는 이번에 5개 백인우월주의 서브레딧을 폐지함과 동시에 타인을 공격하고 다른 이용자들의 불쾌감을 살 수 있는 서브레딧들은 구독자가 아니면 보이지 않게 ‘격리’하는 정책을 도입한다고 발표한 것이다. 그 역시 수많은 이용자들로부터 ‘자유를 억압한다’는 항의 메일을 받았고 게시글을 통해 “사실은 이런 (문제의) 소수 커뮤니티들을 관리하느라 엄청난 시간을 허비하면서 99.98%의 다른 이용자들에게 신경을 못 쓰기 때문”이라고 해명을 할 수밖에 없었다.

레딧의 공동창업자인 알렉시스 오해니언은 2013년 낸 책 <그들의 허락 없이>(Without Their Permission)에서 “인터넷은 민주적인 네트워크이고, 모든 링크(웹페이지)는 동등하게 태어났다. 어떤 네트워크(운영자)가 그들에게 질서를 강요하면 붕괴하기 시작한다”고 적었다. 표현의 자유를 중시하는 미국에서 이렇게 자율을 중시했던 최대 커뮤니티 레딧이 결국 일정한 통제가 필요하다는 사실에 무릎 꿇은 사건은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주류 정치세력과 매체들로부터 방조 또는 무시만 받는 상황에서 점점 더 끔찍한 표현과 행동까지 서슴지 않는 일베에 대한 토론이 필요한 이유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경제 많이 보는 기사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1.

‘삼성전자, 엔비디아에 HBM 납품’ 외신 또 오보

‘공모주 지옥’이 열렸나, 새해 상장 넷 중 셋 30% 넘게 폭락 2.

‘공모주 지옥’이 열렸나, 새해 상장 넷 중 셋 30% 넘게 폭락

기내 보조배터리 직접 소지하라는데…안내대로 하면 되나요? 3.

기내 보조배터리 직접 소지하라는데…안내대로 하면 되나요?

환율 21원 급등, 반도체주 급락…딥시크·금리동결 악재 한번에 4.

환율 21원 급등, 반도체주 급락…딥시크·금리동결 악재 한번에

‘이거 르노 차 맞아?’ 그랑콜레오스, 판매량 역주행 이유 있네 5.

‘이거 르노 차 맞아?’ 그랑콜레오스, 판매량 역주행 이유 있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