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폰 대리점에 진열돼 있는 스마트폰들. 한겨레 자료 사진
궁금증 ‘톡’
국내 최대 가입자를 두고 있는 에스케이텔레콤(SKT)은 왜 ‘데이터 중심 요금제’를 선보이지 않을까? 케이티(KT)와 엘지유플러스(LGU+)가 기존의 통화 중심에서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전환한 뒤 이동통신 이용자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데도 말이다. 데이터 중심 요금제란 음성통화는 무제한으로 제공해 마치 부가서비스처럼 주고,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매기는 요금제를 뜻한다. 케이티가 지난 8일 처음 출시한 뒤 나흘 만에 가입자 10만명을 모으며 관심몰이를 하고 있다.
회사에서 밝히는 이유는 요금인가 절차 때문이다. 에스케이텔레콤은 이동통신시장 50% 가까운 점유율을 가진 시장지배적 사업자로서 새로운 요금제를 내놓기 전에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애초 케이티가 먼저 데이터 요금제를 내놓자, 에스케이텔레콤은 “인가사업자로서 필요한 절차를 진행중이며, 현재 마무리 단계에 있는 미래창조과학부와의 협의가 완료되는 대로 새 요금제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출시는 여전히 미뤄지고 있다. 때문에 업계에선 경쟁 통신사와 다른 에스케이텔레콤의 가입자 구조가 지연의 이유로 제기된다. 데이터 요금제는 음성통화를 무료로 제공하고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올라가는 구조라서, 기존 통화 중심 이동통신서비스 이용자보다는 데이터 사용 중심 이용자가 많을수록 수익이 많은 특성이 있다.
지난 3월 기준 미래부 ‘무선서비스 통계현황’을 보면 에스케이텔레콤 가입자 2607만명 가운데 데이터 중심 서비스인 4세대 엘티이(LTE) 서비스 가입자는 1740만명으로 66.7%다. 반면 경쟁사인 케이티와 엘지유플러스는 이 비율이 각각 72.2%와 78.6%에 이른다. 또 스마트폰 사용자 비율을 보면 에스케이텔레콤은 1975만명(75.8%)인데 비해 케이티는 1264만(82.9%), 엘지유플러스는 886만(80.3%)로 더 높다.
아직 휴대전화를 음성통화 용도로 쓰는 사용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에스케이텔레콤으로서는 음성 무제한 서비스를 도입하면 감수해야 할 수익 감소 부담이 경쟁사에 견줘 높을 수 있다. 게다가 가계통신비 인하의 압박을 받고 있는 정부로서는 사실상 국민 2명 가운데 1명꼴로 영향을 받는 에스케이텔레콤의 요금 정책이 이용자에게 더 저렴하게 책정되도록 이끌어야 할 부담이 있다. 양쪽 협의가 얼마나 길어질지에 대해선 모두 뚜렷한 답을 내놓진 못하고 있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