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디지털] 세월호가 던진 ‘디지털 리터러시’ 화두
디지털 기기를 놓고 자녀세대와 부모세대 간에 갈등과 신경전이 벌어지는 현상에 지혜롭게 대처하고 세대간 가족간 소통이 원활해지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할 계획입니다.
정보 검증 없이 퍼나르다 곤욕
디지털, 빨리 확산되고 기록 남아
왜곡된 공론 만드는 부작용 속출
인터넷정보 비판적 이해 능력은
디지털 시대의 기본 시민 소양 과거엔 상상하기 힘든 파장이 일었던 이유에는 소셜미디어, 1인 미디어 등 정보의 다른 유통 경로가 있었던 이유가 컸다. 황용석 건국대 언론홍보대학원 교수는 “이번 참사는 전에 없이 다양한 경로로 정보가 전파됐다. 일본 공영방송 <엔에이치케이>(NHK)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의 소극적 보도로 그때까지의 절대적 신뢰의 지위를 잃었는데 세월호 참사 보도가 그런 변곡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는 대안적인 여론 형성의 기능도 했지만 동시에 부정확한 정보가 전파되는 통로이기도 했다. 한 누리꾼은 사건 초기, 구조에 참여한 민간 잠수사인 양 ‘세월호 안에 주검이 많다’는 조작된 내용의 카카오톡 대화를 만들어 퍼뜨렸다. 권은희 새누리당 의원은 “(실종자) 유가족인 척하며 선동하는 여자의 동영상이 밀양 송전탑 반대 시위에도 똑같이 있다”며 인용한 동영상을 근거로 페이스북에 올렸는데, 조작된 영상이었다. 새누리당 서울시장 예비후보였던 정미홍 정의실현국민연대 대표는 지난 4일 자신의 트위터로 ‘세월호 촛불 청소년이 일당 6만원을 받고 동원됐다’고 주장했다가 하루 만에 “사실이 아니다”라며 사과했다. 허위정보 유포는 상대에게 상처를 주고 공론을 뒤틀 수 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이를 빌미로 한 공권력의 강압적 조처와 뒤따르는 ‘표현의 자유’ 위축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경찰청은 지난달 20일 ‘유언비어’ 유포에 대해 적극 수사 착수를 발표했다. 계기는 구조 잠수부로 사칭한 홍가혜씨의 <엠비엔>(MBN) 방송 인터뷰와 안산 단원고에서 발견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비방 유인물 등이었다. 박경신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경찰은 애도 분위기를 해친다는 추상적 이유와 극히 제한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정부에 대한 명예훼손 등을 들어 잡도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등학생 노보미(18)양은 “다른 이들이 조사를 받는 것을 보면 나 역시 인터넷 등에 의견을 밝힐 때 위축된다”고 말했다. 대중이 사실에 기반한 정보를 바탕으로 다양한 의견을 검토할 수 있는 환경은 건강한 민주주의 사회 작동의 필수 요건이다. 황용석 교수는 “누구나 자유롭게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개인 미디어 시대에 시민의 소양으로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리터러시란 글을 읽고 쓰는 능력을 말하는데, 디지털 리터러시란 디지털 매체의 성격과 기능을 이해하고 참여하는 능력을 뜻한다. 디지털 미디어는 말과 달리 기록으로 남으며, 일파만파 퍼질 수 있고,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희생자 가족에게 상처를 주고 거짓 정보를 확산시킨 정미홍 대표의 트윗이나 권은희 의원의 조작 동영상 등은 이런 디지털 속성에 대한 몰이해에도 이유가 있다. 정몽준 새누리당 의원이 막내아들의 ‘미개한 국민’ 페이스북 댓글로 고개를 숙인 것도 비슷하다. 강정훈(시흥 능곡고 교사) 깨미동 대표는 “학생들이 언론과 인터넷의 다양한 정보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비교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 하지만 교육당국은 그런 논의보다 ‘함부로 댓글 달지 않기’ 등 표현의 자유 제한에 치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세영양은 “무엇이 맞고 그른지 가르치기 보다, 그것을 구분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교육이 없어 아쉽다”고 말했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