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융합기술발전 기본계획 마련
미래창조과학부가 인문학을 융합기술의 큰 줄기로 보는 새로운 틀의 연구지원 정책을 추진한다. 미래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안에서 주로 진행해온 융합 연구를 인문·사회·예술 분야로도 넓히는 내용의 ‘2차 국가융합기술발전 기본계획’을 마련중이라고 19일 밝혔다. 새 계획안은 내년 상반기 국가과학기술심의회를 거쳐 확정된다.
국가융합기술발전 기본계획이란 차세대 신성장동력은 융합에서 나온다는 관점에서 국가적인 연구역량 강화를 위해 정부가 수립하는 범부처 계획이다. 2006년께 논의가 시작돼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등 7개 부처가 함께 2009~2013년 1차 기본계획을 진행한 바 있다. 2차 계획은 2014~2018년 국가 융합기술 발전 전략의 뼈대를 이루게 된다.
현재 미래부가 초안을 마련중인 2차 계획은 융합이 이뤄지는 무대의 중심을 기존 기술·과학 분야에서 기술과 인문학 사이로 옮겨 온다는 점에서 1차 계획과 차이가 있다. 미래부 융합기술과 관계자는 “지금까지 융합기술은 신사업 발굴을 목표로 기존의 기술과 기술을 접목하는 방식으로 많이 탄생했고, 연구 육성도 그쪽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나 앞으로는 인문사회학적 관점에서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이를 기술과 접목하는 방향으로 초점이 옮겨가야 한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나노 기술의 발전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이나 ‘인간복제 기술의 윤리적인 함의’ 등과 같이 학문간 벽을 뛰어넘는 통섭적인 주제의 연구들이 과제로서 다뤄질 필요가 있다는 얘기다.
미래부는 지원 연구의 요건 가운데 인문·사회·예술 분야 인력과 과학·기술 분야 인력이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는 등의 내용을 추가하는 방침을 검토하고 있다. 또 한국과학기술연구원(키스트), 한국기계연구원 등 20여개 과학·기술 분야 정부 출연 연구소와 국무총리 산하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지원하는 인문·사회 분야 연구소 사이의 협업을 촉진하는 방안도 구상하고 있다. 또 매년 여는 ‘미래융합기술 포럼’을 통해 과학기술과 인문학의 융합을 다양한 관점에서 폭넓게 논의할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기존의 1차 기본계획에도 인문학과 과학기술의 협력 강화에 대한 내용은 있었지만 선언적인 문구에 불과했고, 실제 연구 과제는 100% 가까이 이공계 전문가들로만 구성돼 수행됐다. 이번 계획을 통해 공동 연구에 양쪽의 참여가 활발해지도록 유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