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댓글 시스템 구글플러스 연동에 비판 여론
창업자도 “XX, 왜 댓글 쓰는데 구글플러스 계정이…”
창업자도 “XX, 왜 댓글 쓰는데 구글플러스 계정이…”
구글이 유튜브 댓글 시스템을 개편해, 자사의 구글플러스 계정과 연동시킨 것을 두고 비판 여론이 끓고 있다.
세계적인 동영상 공유 누리집인 유튜브는 지난 주부터 사용자들이 동영상 밑에 댓글을 달려면 의무적으로 구글플러스 계정으로 로그인 하도록 하고 있다. 구글플러스란 구글이 페이스북을 겨냥해 내놓은 자사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다. 구글은 2006년 유튜브를 인수한 뒤 기존의 구글 서비스와 유튜브의 통합 방안을 꾸준히 추진해 왔으며, 지난 9월에 댓글 연동 정책 도입을 예고한 바 있다.
이를 두고 세계의 유튜브 사용자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글로벌 인터넷 청원 누리집인 ‘체인지’(change.org)에는 14일 현재 구글의 새 정책에 반대하는 제안에 서명자가 10만명을 넘어섰다. 처음 제안 뒤 일주일도 채 안되서다. 구글의 제품 포럼 누리집의 ‘유튜브’ 란에는 “원래의 유튜브를 돌려달라”, “구글이 댓글 검열 시작했다”,“왜 통합이 선택이 아닌 강제냐” 등 항의성 글들이 봇물처럼 쏟아지고 있다.
앞서 유튜브의 창업자인 자웨드 카림이 구글의 새 정책에 격한 불만을 표시한 점도 불을 지른 원인이 되었다. 그는 지난 8일 자신의 유튜브 계정에 “XX 왜 비디오에 댓글을 올리려는데 구글플러스 계정이 필요한 거야”라고 올렸다.
동시에 구글의 새 정책이 유튜브의 장점이었던 익명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기존엔 익명의 유튜브 계정으로 댓글을 달 수 있었지만, 새 정책으로 자신의 신분이 구글플러스를 통해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단, 구글은 플러스와 연동하더라도 유튜브용 별도의 계정을 둘 수도 있도록 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정부의 인터넷 실명제 규제 탓에 토종 동영상 누리집들이 가입 등을 실명으로만 허용하는 사이 규제로부터 벗어나 있던 유튜브가 점유율을 크게 올린 사례가 있다. 지난 8월 말 기준 동영상 누리집 가운데 유튜브의 페이지뷰(PV) 점유율은 74%에 달한다.
야심차게 선보인 구글플러스에 대한 사용자 반향이 크지 않은 상황에서 매주 약 1억건의 댓글과 ‘좋아요’ 등이 달리는 유튜브의 트래픽을 끌어들이려는 구글에 이용자의 반대 목소리는 부담으로 다가올 전망이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