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까지 세계사이버스페이스총회
선진국·개도국 협력 방안도 논의
선진국·개도국 협력 방안도 논의
세계 90여개 나라의 정부 대표와 국제기구 대표들이 모여 사이버 공간의 발전과 안보 등에 대해 논의하는 ‘2013 세계사이버스페이스총회’가 17~1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다.
‘개방되고 안전한 사이버 공간을 통한 글로벌 번영’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총회는 박근혜 정부 들어 국내에서 개최하는 최대 규모의 국제 행사다. 90여개 나라의 관련 분야 장·차관급 관료를 비롯해, 국제전기통신연합(ITU)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같은 국제기구의 대표, 기업의 최고경영자(CEO) 등 1000여명의 전문가들이 서울을 찾는다. 사이버스페이스란 인터넷 등 네트워크를 통해 현실과 연결되는 가상 공간을 일컫는 말이다.
이번 총회에서 주목되는 주제는 사이버 보안이다. 갈수록 사이버 공간와 현실 세계와 연관성이 커지면서, 사이버 범죄 또는 테러로 인한 피해 우려가 커지고, 국제사회의 협력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총회는 사이버 보안, 사이버 범죄, 국제안보 등과 함께 사회·문화적 혜택, 경제 성장과 발전, 역량 강화 등 사이버 공간의 전반을 다루는 6개 의제에 대해 토의를 벌일 예정이다.
또 지난 회의와 달리 서울 총회에선 참석 대상이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등 개발도상국으로 확대되면서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의 협력 강화 방안을 모색하는 ‘역량 강화’가 처음으로 의제에 추가됐다. 이를 통해 인터넷을 통한 사회·경제적 혜택을 개도국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다. 논의 결과는 의장 요약문과 2개의 부속문서로 정리될 예정이다. 우리 정부는 그동안 국제기구 등에서 논의한 사이버 공간의 기본적인 원칙을 부속문서에 ‘서울원칙’으로 채택하는 방안을 참가국들과 논의 중이다.
사이버스페이스총회는 영국 주도로 2011년 11월 런던에서 첫 회의가 열렸으며, 지난해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2차 회의가 이어졌다. 3차 회의 개최지로 한국 서울이 선정된 것은 우리나라가 사이버 강국으로서 역량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는 의미도 있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