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티(KT)가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케이티연구개발센터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대표이사 자격 요건을 변경하고 새 사외이사 7인을 선임했다. 연합뉴스
‘대표이사 공백’ 사태가 넉 달째 이어지고 있는 케이티(KT)가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새 이사회를 꾸렸다. 최고경영자 자격요건도 변경하는 등 새 대표이사 선임을 위한 작업에 본격 돌입했다. 케이티는 오는 7월께 신임 대표이사 후보자를 확정하겠다고 했다. 케이티는 구현모 전 대표이사가 ‘셀프 연임’·‘깜깜이 경선’ 등 논란을 일으키다 지난 3월 자진 사퇴한 바 있다.
케이티는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케이티연구개발센터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대표이사 자격 요건에서 ‘정보통신기술(ICT) 전문성’을 삭제하고 ‘기업 경영 전문성’ ‘리더십’ ‘커뮤니케이션 역량’ ‘산업 전문성’ 등 네 가지 항목을 새로 추가하는 등 정관 개정안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케이티가 이날 자격 요건을 바꾼 것은 대표이사 후보군을 넓히기 위해서다. 앞서 케이티 ‘뉴 거버넌스(새 지배구조) 태스크포스’는 “정보통신기술 산업과 이외 산업 간 융합이 가속화하면서 회사의 사업영역이 넓어지는 데 따라, 기존 통신뿐만 아니라 금융과 미디어, 부동산 등 그룹 전반 사업에 대한 이해와 관련 경험을 갖춘 이로 대표이사 후보군을 넓힐 필요가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정부와 여권이 케이티 경영진 선임에 개입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보통신기술 전문성’이 삭제되면서 케이티 내부 인사가 후보군에서 더 점수를 얻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이날 주총장에선 김미영 케이티 새노조위원장이 “정관 개정이 낙하산 인사를 받기 위한 사전 작업이 아니냐는 의구심이 많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박종욱 케이티 대표이사 직무대행은 “낙하산 우려를 없애고 다수 지지를 받는 최적의 대표를 선임하기 위해 자격요건과 의결 기준 등을 바꾸는 것”이라고 했다.
다만 케이티는 새 대표이사 선임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자격 요건과 선출 방식 등을 바꾸는 전례들을 쌓고 있어, 공정성을 스스로 지키지 못한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케이티는 이날 새 사외이사 7인을 선임해 이사회 구성도 마쳤다. 곽우영 전 현대자동차 차량정보통신(IT)개발센터장, 김성철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 안영균 세계회계사연맹(IFAC) 이사, 윤종수 전 환경부 차관, 이승훈 케이시지아이(KCGI) 글로벌부문 대표 파트너, 조승아 서울대 경영대학 교수, 최양희 한림대 총장(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등 사외이사 후보로 올라왔던 이들 모두가 선임됐다.
앞서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 아이에스에스(ISS)와 국내 자문사 한국이에스지(ESG)평가원은 사외이사 후보 7인에 대해 모두 찬성 권고 의견을 낸 반면, 글래스루이스는 윤종수 전 차관에 대해 반대 의견을 내기도 했다. 윤 전 차관이 고문을 맡고 있는 김앤장 법률사무소가 케이티와 현대자동차의 지분 맞교환 건을 비롯해 지난 3년 동안 케이티에 177억원 규모의 법률 자문을 제공한 바 있어, 이해 충돌이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
케이티는 새로 꾸려진 이사회를 중심으로 이르면 오는 7월 안에 새 대표이사 후보자를 확정해, 8월말께로 예정된 다음 임시 주주총회에서 선임 절차를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정인선 기자
re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