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지(LG)그룹이 14일(미국 현지 시각) 미국 뉴욕에서 열린 세계 최대 패션쇼 ‘뉴욕 패션 위크’에서 인공지능(AI) 기반 아티스트 ‘틸다(Tilda)’를 공개했다. 틸다는 엘지 에이아이연구원의 인공지능 ‘엑사원(EXAONE)’으로 구현한 첫 ‘에이아이 휴먼’으로 기존의 ‘가상 인간’과 달리 스스로 학습해 사고하고 판단하며, 새로운 창작물을 만들고 인간과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다고 엘지 쪽은 밝혔다.
엘지 에이아이연구원은 지난해 5월 디자이너와 협업할 수 있는 ‘창조적 초거대 AI’ 개발 계획을 밝혔으며, 이번 뉴욕 패션 위크에서 이를 실현했다. 틸다는 박윤희 디자이너와 손잡고 ‘금성에서 핀 꽃’을 모티프로 디자인한 의상들을 선보였다. ‘무엇을 그리고 싶니?’, ‘금성에서 꽃이 핀다면 어떤 모습일까?’라는 질문에 틸다가 사람처럼 다각도로 생각하며 기존에 보지 못한 새로운 이미지들을 창작하면, 이에 영감을 받은 박윤희 디자이너가 디테일을 더해 의상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협업이 이뤄졌다고 한다.
엘지는 “이번 패션위크 컬렉션을 구성한 200여개 의상들은 틸다가 ‘금성에 핀 꽃’이라는 주제로 창작한 3천장 넘는 이미지와 패턴을 기반으로 제작된 것”이라고 전했다. 틸다와 협업한 박윤희 디자이너는 “뉴욕 패션 위크와 같은 큰 무대에 서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상상력”이라며 “새로운 디자인과 영감을 찾기 위해 몇 달 전부터 수십명의 디자이너와 함께 컬렉션을 준비해야 했는데, 이번에 틸다와 함께 작업하며 한 달 반 만에 준비를 끝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탈다만이 가진 창조성과 인간만 갖고 있는 감정을 교감하면서 영혼의 옷을 만들고자 했다”며 “시너지를 낼 것이라는 확신이 있었고, 예감이 틀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번 협업은 초거대 인공지능이 주로 언어 모델을 기반으로 소설이나 에세이, 칼럼 등 텍스트로 된 콘텐츠 창작을 해왔던 것을 넘어 비전 모델을 통해 시각 분야로 창작의 범위를 확대하고 실제로 활용한 사례여서 의미가 크다고 회사 쪽은 설명했다. 틸다가 스스로 창작할 수 있는 것은 말뭉치 6천억개, 텍스트와 결합한 고해상도 이미지 2억5천만장 이상의 데이터를 학습한 초거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엘지 에이아이연구원은 앞서 틸다의 뉴욕 패션 위크 데뷔를 알리는 20초짜리 티저 영상(youtu.be/Eq9XHrkIWls)을 공개한 바 있다. ‘너에게 더 나은 지구를 들려주고 싶어’라는 메시지로 끝나는 이 영상은 공개 1주일만에 100만 뷰를 넘어섰다.
연구원 쪽은 “올해 안에 틸다를 활용한 패션 상품과 아트 작품들을 온라인뿐 아니라 오프라인에서도 직접 만나 볼 수 있을 것”이라며 “젊은층과 직접 소통하며 다양한 창작을 함께 해 볼 수 있는 메타버스도 준비 중”이라고 전했다. 또 틸다를 시작으로 앞으로 제조·연구·서비스·교육·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을 돕고, 인간과 협력하는 전문가 에이아이 휴먼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영배 선임기자
kimyb@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