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베이징 첸먼 쇼핑거리. 중국 정부는 내수 육성을 통해 세계적 경기 변동과 예측 불가능한 외부 파장을 최소화하겠다는 의지로 이른바 ‘쌍순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베이징/AFP 연합뉴스
올해 들어 11월까지 중국의 회사채 부도(디폴트)가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38%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경보음이 울리고 있다. 여기에 회사채 금리마저 지난해 수준을 웃돌아 부동산 시장 위축과 맞물릴 경우 파급력이 배가될 것이라고 국제금융센터가 분석했다.
국제금융센터는 10일 이슈 분석 보고서를 통해 “중국 회사채 디폴트가 증가하고 금리도 지난해 수준을 상회하고 있는 데다 특히 신용 등급이 높은 대형 국유기업 디폴트도 발생하면서 경계감이 고조되고 있다”고 밝혔다.
1~11월 중국의 회사채 디폴트 규모는 1061억 위안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7.7% 불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국유기업 비중이 28.7%로 작년 24.9%보다 높았다. 신용 등급 ‘A-’ 이상인 기업의 비중도 50.7%로 높게 나타났다. 신용 등급이 높은 국유기업의 디폴트가 늘고 있다는 뜻이며 경계감을 키우는 대목이다. 부도 건당 평균 규모는 작년 8억9천만 위안에서 올해 11억7천만 위안으로 커졌다. 이런 터에 중국의 회사채 금리는 올해 5월 이후 상승세를 이어가며 4% 안팎으로 올라 지난해 평균 3.6%를 웃돌아 기업들의 신용 리스크를 높이고 있다고 국제금융센터는 분석했다.
이런 디폴트 급증세는 코로나19에 따른 대내외 위축으로 한계 기업이 증가한 데다 과거 무더기로 발행한 회사채의 만기가 몰리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1~10월 중국 공업 기업의 이익이 2년 연속 부진했고 적자 기업 수가 늘었다. 여기에 2015년 이후 회사채 발행이 연평균 47.1% 증가해 평균 4.1년인 만기가 지난해부터 집중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정부가 국유기업들의 보증 기대를 막고 디폴트를 허용함으로써 ‘옥석 가리기’를 통한 국유기업 개혁을 시도하고 있는 것도 회사채 부도를 늘리는 요인으로 꼽혔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지난 6월 ‘20년 생산과잉 해소 및 국유기업 개혁에 대한 통지’를 발표하고 향후 3년을 개혁의 중대시기로 규정한 바 있다.
국제금융센터는 “중국 회사채의 65% 내외가 담보부 발행이며, 이 중 대부분이 부동산 관련이며 회사채 만기 도래분 중 부동산 관련 업종 비중이 37.8%로 수위를 차지한다”며 “부동산 시장 위축 시 (회사채 디폴트 사태의) 파급력이 배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센터는 “거시경제 회복세와 정책 여력, 외국인 자금 유입, 기업의 현금 보유로 단기간에 시스템 위기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회사채 디폴트 급증이) 중국 경제 회복을 제한할 뿐 아니라 핵심 리스크로 부각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회사채 디폴트 문제의 근원적 해법은 국유기업의 개혁이지만,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원활하게 진행되기 어려운 구조로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김영배 기자
kimyb@hani.co.kr